변음의 과정 속에 우리말의 작용이?
2015. 1. 14. 08:34ㆍ국명 흐 의미
우리말이 주도되고 있음은
근본 글자가 변음될 때 잘 나타납니다.
예로 요(夭)에서 소(笑)로 변음되면서
우리말 소리의 소가 영향을 주게 됩니다.
요(夭)는 요기를 보세요 하면서 교태를 부리는 여자를 표현합니다.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女를 중심으로 변음 고찰 (0) | 2015.01.14 |
---|---|
한자음 변음의 주체로 인류 언어 기원을 증명하다. (0) | 2015.01.14 |
웃을 소(笑) 고찰? (0) | 2015.01.14 |
이래도 증거가 없다 할 것인가? (0) | 2015.01.13 |
조선어 기원론 (0) | 201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