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3. 1. 08:25ㆍ고조선 문자-영어 English
3. 이 문자들의 예는 훈민정음 해례본에 거의 다 제시되어 있다. 예로 현재 한국어로 이해할 수 없는 표현들이 훈민정음에 실려 있다. 병아리는 "비육", 수달은 "러울", “우케”라는 " 미용도(未舂稻: 찧기 위해 말리는 벼)" “이아”라는 "잉아: 베틀의 날실을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줄. 종사(綜絲)" 등 훈민정음을 통해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는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 이 문자를 보고 해석했다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3. Examples of these characters are presented almost in Hunminjeongeum haeryebone(訓民正音解例本,the book about using Hanguel). For example, a few expressions that we can not understand with present Korean is carried in Hunminjeongeum haeryebone(訓民正音解例本).
Chick is "biyug", the otter is "leoul", "miyongdo" (未 舂 稻: dry for pounding rice in a mortar )" called "wooke" , "inga" called "ia"( thick line to raise the warp of the loom, Jongsa (综 丝)) "etc. We can interpret them through it.
It becomes evidence that King Sejong and jiphyeonjeon scholars interpreted these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