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1. 28. 16:08ㆍ세계정음 수필.
ㄷ의 티벳 초서체 ㄴ을 보시겠습니다.
늘 소개하는 티벳 문자 자료에 ㄷ 의 티벳 초서 ㄴ 이 있습니다.
주소: http://www.omniglot.com/writing/tibetan.htm
여기에 보시면, sample text 초서체 gyuk yin script 에 중간 오른쪽에
티벳 문자 ང་དང་의 초서체가 있습니다.
소리는 [나 따]입니다.
དང་[따]: 우리 한글 그대로 읽어도 됨.
뜻은 또(and) 이고, 일어 또(and)이기도 함
인쇄체의 정규 글자에서 한 획을 생략하여 초서체로 적습니다.
그래서
모양은 영어 V 나 W 모양이지만, ㄴ 과 ㄴㄴ 의 초서체입니다.
ㅁ은 필기체에서 ㅁ인데, 모양상 ㅇ 이 되기도 합니다.
획수가 생략된 초서체라는 것을 알면, 위아래 쉽게 대조해 볼 수 있습니다.
한자도 초서체에서 획 수를 많이 생략하지요.
다음 이 문자들 중 [ra]첨족자 붙이는 모양은 바로 우리 한글 “ㅡ” 표기랑
동등하며 소리도 티벳에서 [ra]라 되어 있지만, 한국어 소리 [ㅡ]와 거의 비슷합니다.
ད྄[dra]
위 문자는 티벳문자인데 한번 읽어 보십시오.
바로 한국어 [드] 이지요.
티벳에서 첨족자라 알려진 아래선 ㅡ 는 우리 훈민정음 천지인 중 "ㅡ"로서
거의 동일한 음가이다. 티벳은 자음으로 간주된 것 이고, 우리 한글에서는 중성모음이라
간주한 것 뿐이다.
이전에 소개해드린 불교 문자(범자)는 소리와 모양새 그대로 한글과 똑 같습니다.
다시 보여드립니다.
www. mandalar -->범자문자(梵字文字)-->모음(母音) 맨 마지막
발음 [어] 문자입니다. 원 문자는 S 인데 줄인 글자체로는 ㅡ 입니다.
그래서 [브(버)], [그(거)], [느(너)],
[므(머)] [르]라고 되어 있습니다.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므"와 "르"는 형태와 소리 그대로 한글이자 불교문자(범자)입니다.
* 세계 최초의 학문적 내용입니다.
혹시 그럴 분 없겠지만, 지적 소유권
오직 저에게 있습니다.
'세계정음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중성모음에 원문자는? (0) | 2007.11.29 |
---|---|
한글 지(地: ㅡ) 는 아시아문자에서 왼쪽 단음 ㅣ입니다. (0) | 2007.11.29 |
아 축하 박성진 사부님 출판기념회. (0) | 2007.11.28 |
아 경축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 (0) | 2007.11.28 |
ㄱ 다음 ㅋ 인 이유 (0) | 2007.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