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5

2007. 1. 24. 16:54아시아소리문자

 

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5

 

ㅎ 과 ㅇ 계열, 목소리 , 후음(喉音)


우리가 알고 있는 ㄱ,ㄴ,ㄷ,ㄹ,....지금의 한글 문자 배열은 변형된 것입니다.


치음(齒音)다음 후음(喉音)입니다.

ㆆ, ㅎ, ㅎ 병서(ㆅ), ㅇ



힌디어에는 야[ya] 1개, [v]와 [와] 사이 1개 ,ㅎ 1개 인데,

야 1개, [v]와 [와] 사이 1개는  6째 줄에, ㅎ 은 마지막 8째 줄에 있습니다.


구자랏도 마찬가지로 야 1개, [v]와 [와] 사이 1개 ,ㅎ 1개 인데,

야 1개, [v]와 [와] 사이 1개는  6째 줄에, ㅎ 은 마지막 7째 줄에 있습니다.


티벳은 [v]와 [w] 사이 1개, ㆆ 1개, ㅇ 1개, ㅎ 1개

미얀마는 [ya] 2개, [wa] 1개, [ㅎ]2개, [ㅇ]1개 인데 모두 아래쪽에

있음


이 후음들은 편의상 구자랏문자 배열에 따라 , 중간에 반치음 ㄹ 을 넣겠습니다.


 

[ya]

[ra]

[la]

[la]

 [va]

힌디어

(데바나가리)

구자랏

티벳

ཡ་[ya]

འ་[ㅇ]

ཨ་[ㅇ]

 

 

ར་

 

ལ་

ཝ་

미얀마

 

훈민정음

(야)

 

 

 ㆆ



현재 사라진 ㆆ 의 음가는 위 도표에서 [v] 정도의 음가일 것이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다음 힌디문자 마지막 줄에 나온 “ㅎ” 을 비교해보겠습니다.


 

 

[ha]

 

 

 

 

힌디어

(데바나가리)

 

 

 

 

구자랏

 

 

 

 

티벳

ཧ་

 

 

 

 

미얀마

 

 

 

훈민정음

 

 

 



훈민정음에는 이 후음 다음에 반치음 ㄹ입니다.

이미 앞쪽의 도표에 넣어 보았습니다.


# 이렇게 아시아 5개 문자의 배열 순서는 힌디문자의 순서에 맞추어져 있으며,

훈민정음의 문자 순서는 잇소리인 치음(齒音)이 두 번째가 아니고

혓소리인 설음(舌音)이 두 번째인 점 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