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4

2007. 1. 24. 11:45아시아소리문자

 

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4


ㅅ과 ㅈ 계열,  잇 소리, 치음(齒音)


우리가 알고 있는 ㄱ,ㄴ,ㄷ,ㄹ,....지금의 한글 문자 배열은 변형된 것입니다.


순음(脣音)다음은 치음(齒音)입니다.

ㅈ, ㅈ병서(ㅉ), ㅊ, ㅅ, ㅅ 병서(ㅆ), 반치음 ㅿ

즉 ㅈ 계열 3개, ㅅ 계열 2개 , 반치음 ㅿ


힌디어에는 ㅈ 계열 4개에 ㅅ 계열 3개,

구자랏도 마찬가지로 ㅈ 계열 4개에 ㅅ 계열 3개,

티벳은 ㅈ계열에 3개, ㅅ 계열에 2개,

미얀마도 ㅈ 계열 2개, ㅅ 계열에 2개 (두번째 줄에 모음)


이 치음(齒音) 계열은 훈민정음에서는 순음(脣音)다음에 오지만,

다른 문자들은 ㅈ계열에서 주로 아음(牙音)다음 두 번째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먼저 ㅈ계열의 치음부터 4자하고, 이전 앞에서 언급한 [냐] 를 마지막에 넣겠습니다.


 

[ca]

[c(h)a]

[ja]

[j(h)a]

 [n]

힌디어

(데바나가리)

구자랏

티벳

ཅ་

ཆ་

ཇ་

 

ཉ་

미얀마

[사]

[샤]

훈민정음

 

 




미얀마 문자는 ㅈ계열 난에 ㅅ 계열 2개 같이 있음,


훈민정음에 한글은 ㅈ->ㅈ 병서(ㅉ)-->ㅊ 순서입니다.

가획의 순서는 ㅅ--> ㅈ--> ㅊ(大) 순서로서 위 ㅈ계열 역순으로 올라가면

됩니다.

 

다음은 ㅅ 잇소리 계열입니다.

훈민정음에는 ㅈ 다음에 바로 ㅅ 이 나오지만, 미얀마 문자를 제외하고는

두 번째 칸에 ㅈ 계열, 7번째 칸(티벳은 8번째)에 ㅅ 계열이 나옵니다.



 

[sha]

[sha]

[sa]

 

 

힌디어

(데바나가리)

 

 

구자랏

 

 

티벳

 

ཤ་

ས་

 

 

미얀마

 

 

 

훈민정음

반치음

 

 




도표에 대입하다 보니 [쉬] 발음에 반치음을 대입해보면 되는군요.

소리가 똑 같을지는 의문입니다.




 # 홀로 민족의 자존심을 중요하게 강조하는 것도 큰 능력이라고 한다면,

나는 남과 같이 살아가고(상생), 한글 외에 아시아 소리 문자들이 또 하나의 한글이라

여긴다면, 아시아 모든 민족이 친구되고 형제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