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1. 26. 10:01ㆍ아시아소리문자
아시아 모음 문자 상세 고찰
이제부터는 좀 더 상세히, 혹은 어떤 생각들이 떠 오른 점을 정리해 둡시다.
|
힌디 |
구자랏 |
티벳 |
미얀마 |
훈민정음 (힌디 음가 표기) | |||
1 |
अ |
원문자 |
અ |
원문자 |
ཨ་ |
|
|
ㅓ와 ㆍ |
2 |
आ |
ा |
આ |
ા |
|
|
အ |
ㅏ |
3.[이] 단음 |
इ |
ि |
ઇ |
િ |
ཨི |
|
အီ |
ㅡ |
4. [이] 장음 |
ई |
ी |
ઈ |
ી |
ི |
ིི |
အီး |
ㅣ |
5 |
उ |
ु |
ઉ |
ુ |
ཨུ |
ུ |
အူ |
ㅜ |
6 |
ऊ |
ू |
ઊ |
ૂ |
|
|
အူး |
ㅠ |
7 |
ऋ |
ृ |
|
|
|
|
|
리 |
8 |
ए |
े |
એ |
ે |
ཨེ |
|
အယ္ |
ㅔ |
9 |
ऐ[ㅐ] |
ै |
ઐ[ㅏㅣ] |
ૈ |
|
|
|
ㅐ ㅏㅣ |
10 |
ओ |
ो |
ઓ |
ો |
ཨོ |
|
ေအာ္ |
ㅗ |
11 |
औ[ㅓㅗ] |
ौ |
ઔ[ㅓㅜ] |
ૌ |
|
|
အို |
ㅓㅗ ㅓㅜ (ㅕ,ㅛ) |
1. 첫 번째 원문자는 [ㅏ]와 [ㅓ]의 중간음인데 훈민정음 발음으로는 아래 아[ㆍ]
인데, 흔히 삿갓 이라하는 영어 시옷 발음[ㅅ]과 같습니다.
그 중 원문자로서 사용된 구자랏 중에 모양이 “ㅏ”모양 “ㅓ” 모양이 있습니다.
위 두 번째 ㅏ에서 “ㅏ” 모양으로 보이는 것은 소리가 [ㅏ]인 ㅣ 모양새 이기도 하다.
그래서 구자랏 문자에서 한글 “ㅏ” 모양은 그대로 [ㅏ]발음으로 읽고, “ㅓ” 모양은 [ㅓ] 로 읽어도 됩니다.
예로 [ㅋ]과 [ㄱ]에 있어 [ㅋ]소리인 ખ는 한글 “ㅓ” 모양을 하고 있으므로
[커]로 읽어도 됨. 물론 [카]도 가능.
다음 [ㄱ]소리인 ગ는 한글 “ㅏ” 모양 혹은 “ㅣ” 모양이므로 , 모양에 따라
[가]로 읽음.
2. 두 번째 줄은 [ㅏ] 소리이고 형태도 한글의 “ㅏ” 인데, 구자랏 문자에서
끝에 약간 휘어지는 “ㅣ” 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래서 가림토의 순서 천인지(天人地)의 순서대로 인(人)이 두 번째 자리에
온 것으로 볼 수 도 있으며, 가림토의 두 번째 세로선 “ㅣ” 이 [ㅣ] 소리가
아니라 [ㅏ] 소리일 수 도 있습니다. 그러면 가림토 “ㅏ”는 ㅏ 장음 [ㅏ-]
인 것입니다. -->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이런 식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뒤에 결합되는 규칙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3. 8번째인 [ㅔ]와 9번째 [ㅐ]는 우리 한글에 따르자면 모두 두 단모음이 결합된
모양이지만, 힌디, 구자랏 에서는 [ㅔ]소리를 점 하나의 단음으로 , [ㅐ] 소리를
점 두개의 장음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실제로 [ㅔ]에 해당하는 영어 발음 bed[e]는 짧고,
[ㅐ]에 해당하는 bad[bæd]는 깁니다.
4. 힌디문자 10번째는 ो [ㅗ]이고, 11은ौ [ㅛ]인데, 힌디문자 [ㅗ]
ो 는 한글 ㅗ 에 세로선을 그어 내린 것이고, 힌디문자 ौ [ㅛ]는
한글 ㅛ 에 가로선을 그어 내린 것이다.
'아시아소리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 7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2 (0) | 2007.01.27 |
---|---|
아시아 7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1 (0) | 2007.01.27 |
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5 (0) | 2007.01.24 |
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4 (0) | 2007.01.24 |
아시아 5개 소리문자 배열 비교-3 (0) | 2007.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