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천자문 (30)
-
12. 바람 풍(風)
12. 바람 풍(風) 밣 에서 우리말 '바랗'===>'바람' 한자어 ㄹ 탈락, ㅂ은 ㅍ으로 '풓'===>'풍' ㅂ에서 ㅍ으로 쉽게 변합니다. 예로 우리말 '마파람' 이 증명합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571100 마풍(麻風) 앞바람 혹은 남풍을 마풍이란 한자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우..
2017.04.06 -
11. 불 분
11. 불 불사를 분(焚) 불사를 분(焚) 불사르니, 분소(焚燒) 불의 또 하나 변음, 번 http://hanja.naver.com/hanja?q=%E7%87%94 사르다의 변음 '산' 불사를 '선' http://hanja.naver.com/hanja?q=%E7%86%AF 불사를 작 http://hanja.naver.com/hanja?q=%E7%81%BC 사르다의 ㅅ의 변음 ㅈ , 작 죽다란 의미와 연결됩니다. 찌는 듯 떠겁다..
2017.04.02 -
10. 온천
10. 온천(溫泉) 따뜻하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1100102 옛말은 월인석보에 'ㄷ.ㅅㅎ.다' 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역시 아주 고대어는 '닳다' 였다고 봅니다. 구급방언해에는 '닷다' 라고 표기합니다. 받침 ㄹ이 ㅅ 으로 바뀌고, ㅎ이 초성으로 진행한 경우입니다. 여기서 '닷하다'의 하..
2017.04.01 -
9. 못 담(潭)
9. 못 담(潭) 물을 담고 있으니, 못 담(潭) 못 당(塘) 담의 변음 당 못 소(沼) 못의 받침 ㅅ 의 소
2017.04.01 -
8. 치솟는 샘, 샘 천(川)
8. 치솟는 샘, 샘 천(川) 치솟는 샘, 치솟는 샘 천(泉) '시암' 일 경우=시원(始原), 수원(水源)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3525400&directAnchor=s237114p494565d574383
2017.03.31 -
7. 물 마시다=음수
7. 물 마시다=음수(飮水) 물 마시다 우리말 물이 풀어져 '마시다'가 됩니다. 한자어는 '음수'입니다. 마=음(飮) 시=수(水) 물에서 받침 ㄹ이 그대로 초성되어 '음료수'의 '료(料)'
201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