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세계어사전(474)
-
안해 고찰
안해 고찰 우리말 ㅎ, -히 가 그대로 남은 곳이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5155600 아내의 옛말 역시 우리말 -히가 그대로 -해로 남은 경우입니다.
2017.07.23 -
접두사 해 고찰
접두사 해 고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1805600 흐뭇하게, 즉 행복(幸福)의 '행' 이 나오게 됩니다. 첫 언어는 '햏' 인데, 받침 ㅎ 이 뭇 으로 늘어집니다. ㅁ이 ㅂ 으로 변하면 '행복(幸福)' 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해족하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1950003
2017.07.23 -
해 고찰
해 고찰 많이의 옛말이 '해'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1804700 동시에 ' 제주 방언' 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옛말 그대로 제주 방언이 남아 있다는 것은 제주가 그 첫 발생지로 보면 된다는 것입니다.
2017.07.23 -
보구치 고찰
보구치 고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6898800 부서 라고도 합니다. 반애(盤厓)도 우리말 보구히, 보구이 의 흉내 이두라고 봅니다. 보구치의 ㅂ 이 ㅁ 으로 변하여 '민어(民魚)'가 되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2017.07.23 -
조기 고찰
조기 고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160900 조기도 살펴 보겠습니다. 첫 우리말은 '좋' 였는데, '조히' --->'조기' 가 되었습니다. 한자어는 '조기 종' 입니다. 우리 첫음 '좋' 그대로 '종' 인 것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4613600&directAnchor=s357020p228305d272380 설마 한자어 '종' 에..
2017.07.23 -
-어 존재 고찰
-어 존재 고찰 이런 제 학설을 잘 보여 주는 단어는 '고등어' 입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07700&directAnchor=s30216p386504d450838 꼬도리와 고동무치 는 '경남' 방언입니다. 고대(경북) -어 가 붙는 단어를 보겠습니다. 고도에(함경) 고두에(평안, 함경) 고망어(경기, 함경, 황해) 고마어(평..
2017.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