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일어, 중어(21)
-
한국어와 중국어
중국어에서 ① 보글 보글 '보글보글': 네이버 중국어사전 (naver.com) '보글보글': 네이버 중국어사전 (naver.com) 현 중국어로 咕嘟咕嘟地[gūdūgūdūde/구두구두더],咕嘟嘟地[gūdūdūde/구두두더]라 합니다. 언 듯 밖으로 나타난 음가로는 당연히 다릅니다. 하지만 ㅲ에서 ㅂ 탈락 후 ㄱ 이 나타난다는 소리 이치를 알면 당연히 咕嘟咕嘟[구두구두]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반복되는 이치도 우리말과 동일합니다. 작은 거품이 일어나는 소리를 噗噜噗噜地 [pūlūpūlūde/푸루푸루더],噗噜噜地 [pūlūlūde/푸루루더],噗噗地 pūpūde[푸푸더]라고 하니 우리말 ㅂ이 ㅍ 으로 남은 형태입니다. ② 부들부들/벌벌 '부들부들': 네이버 중국어사전 (naver.com) 현 ..
2023.04.02 -
보글 보글
일어에서 1) 보글 보글 '보글보글':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일어는 4개를 제시하는데 ぶくぶく/ぐつぐつ/ ぼこぼこ/ ふつふつ에서 ぶくぶく[부쿠부쿠]와 ぼこぼこ[보코보코]는 그냥 우리말인 것입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보글보글’에서 두 번째 종성 ㄹ 이 탈락된 것이 현재 일어로서 고대 일어는 우리말 ‘보글보글’입니다. ㅂ-ㄱ이 ㅎ-ㅊ 되면 ふつふつ[후츠후츠]가 나타나게 됩니다. 2) 부들 부들/벌벌 '부들부들':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현재 일어 단어는 ぶるぶる/わなわな/ がくがく인데 ぶるぶる[부루부루]는 우리말 ‘벌벌’이 늘어진 정도입니다. ㅂ-ㄷ 이 ㅇ-ㄴ 되면 わなわな[와나와나]가 되는 것입니다. 3) 빙글 빙글 '빙글빙글':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현..
2023.04.02 -
ぐらぐら[부라부라] 고찰
ぐらぐら[부라부라] 고찰 1. 흔들흔들 2. 버글버글, 부글부글 먼저 ‘흔들흔들’의 경우 우리말 ㅎ이 ㅂ에서 나온 것으로 ‘븐들븐들’에서 ‘부라부라’가 되고, 우리말 ‘버글버글, 부글부글’에서 ㅂ-ㄱ 이 ㅂ-ㄹ 되어 ‘부라-부라’됩니다. 우리말 ‘보글-보글’ ‘부글-부글’이 일어에 ‘부라-부라’로 정확히 남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천년 전 일어에서는 ‘부라-부라’가 ‘부글-부글’이었고, わく[와쿠]라고 하는 일어는 ‘부끓다’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2023.01.12 -
1. 가깝다
가깝다=ちかい[치카이] 'ちかい': 네이버 일본어사전 (naver.com) 가깝다, 가까이, ㄱ이 ㅈ/ㅊ 되어 ‘치카이’된 것입니다. 영어는 close[클로스]인데 우리말 ㄱ이 ㅋ 으로 남은 것입니다. ㄱ이 ㄴ 되면 독어 nahe[나어]가 되고 영어 near인 것입니다. 한자어는 ‘가까울 근(近)’으로 우리말 ㄱ 그대로입니다.
2023.01.11 -
17. 대 죽, 다케
17. 대 죽, 다께 서정범 교수님도 제시 하신 바입니다. 우리말 '대'에서 일어 '타케/다께' 가 되었습니다. 제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원 고어는 ㅎ 을 붙인 댛 이고, 댛----> ㄷ이 ㅈ 이고 , ㅎ 이 ㄱ 으로 되면서 '죽' 댛에서 대는 다, ㅎ 이 케가 됩니다.
2017.07.10 -
16. 가람 강, 가와
16. 가람 강, 가와 강(江) 한자음은 '코우' 이고, 훈독은 '에' 입니다. 그러나 강을 건너다 하면 http://jpdic.naver.com/entry/kj/KJ000000001982.nhn '가와오 와타루'라 합니다. 川 이 '가와' 로 나니, 우리말 '가람' '강'과 같은 어원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2017.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