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첨수도 문자-또 하나의 중요 문자 ㅣ [R]
첨수도 [R] 고찰 원래 브라미 문자에는 좀 구불 하지만, 바위나 청동기에 문자를 새길 때는 ㅣ 이 됩니다. 그래서 ㅏ 는 [Ra-], ㅗ 는 만약 자음이면 [ㄴ]이지만, 자모음이면 [Ru], 혹은 [Raㄹ], ㅓ 는 [Re], ㅕ 는 [Rae], ㅜ 는 [Ro] V 은 [ㄹ]음가라고 생각할 수 도 있습니다. [열]혹은 [랠].
2011.01.08 -
첨수도 문자 ㄴ 고찰
ㄴ 고찰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 276-277쪽, 알 수 없다는 문자입니다. 현재 L 은 영문자에서 한글에서 볼 수 있습니다. 둘 다 자음이지요. 그런데 고대에는 근본 모음이었습니다. 그래서 이전 해석을 다시 해야 합니다. 니 는 [위] 혹은 위의 문자를 凵으로 본다면, [부], 노 는 자음과 모음이 고..
2011.01.08 -
첨수도 문자: 쿠,케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 273쪽, 알 수 없다는 문자입니다. 이 문자는 브라미 문자, 十 에다가 모음 부호를 붙인 것입니다. 특히 수평 표식의 약간 위치 차이로도 그 문자의 진 면목을 알 수 없습니다. 처음 것은 보통 브라미 문자 소개난의 문자 표식이고, 아래는 첨수도 문자이자, 실제 사용 문..
2011.01.08 -
첨수도 문자 [ㅍ]음가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 270쪽, 알 수 없다는 문자입니다. 이 문자는 브라미 문자에 분명하게 나오는 문자로서 위 자음은 [ㅍ,p]이고 아래 ㅣ 은 [우]입니다. 그래서 [푸] 여기서 오른쪽 잔 처럼 보이는 첨선은 브라미에서 문자의 안으로 우리는 밖으로 나간 것으로 [ph]라고 봅니다. ㅗ 는 [우~] ..
2011.01.08 -
첨수도 문자-S의 정체
이 문자는 "탈", "달" , "떼", "딸"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어쨌거나 현대 S도 첨수도에 있었음을 확인하셨지요.
2011.01.08 -
첨수도 ㅁ 은 [ㅂ]음가
선진화폐문자편(先秦貨幣文字編), 275쪽, ♢도 ㅁ의 방향 돌림 정도입니다. 아래는 모음을 붙여 보았습니다. 占, 한자로 점(占)이지요. 이는 위의 ㅏ [라~]와 받침 [ㅂ]으로 생각해 보기도 하고, 위의 ㅏ 를 [애]로 보기도 합니다. 물론 당시 한자를 알고 있었기에 한자 占을 배제할 수 없지만, 한글의 모습..
201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