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 화폐문 연구(641)
-
여기에 자료가 -오리와 소
제가 오리와 소를 얼마나 정확히 읽었는가 보세요. 음가 배정은 잘못 되었습니다. 오리는 [오], 소는 [ㅅ]음가입니다. http://www.designinindia.net/design-thoughts/writings/history/india-history-type-design1.html
2011.01.12 -
인더스 문자-나가
출처: 2002년 Madhusudan Mishra 의 연구 중, 빛이 가 버린다라는 의미인데, 거의 우리말과 같지요.
2011.01.12 -
자는 다
2002년 Madhusudan Mishra 의 연구에 따르면, 자 모양새를 [ㅈ] 음가를 [dha]음가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청유현 -자 는 -다 로 종결형이라 볼 수 있습니다. 사자----> 사다 그런데 두 연구 중에 어느 것이 옳은가는 더 검토해야 하지만, 분명한 것은 한국어이자 고대 인도어 분위기이다라는 것입니다. 즉 인장 ..
2011.01.12 -
인더스 문자- 세모 화살표
인더스 세모 화살표 [아이:어린이]로 읽어 보고(기존 학설), [ㅅ]음가의 하나로 읽어 봅니다. 인더스 학자가 처음에는 [아이]로 읽었는데, 다른 학자는 [ㅅ,s] 음가로 읽었네요. 그렇다면 인더스 음가가 세종의 훈민정음까지 연결됨을 알 수 있습니다.
2011.01.12 -
인더스 이두 문자
만약 [sa]음가로 배정된 문자가 소의 모양새의 음가를 차용해서 [소]라고 소리 내었다면, 이는 고대 이두 문자인 것입니다.
2011.01.12 -
첨수도 불
첨수도 불
201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