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흉보다, 놀리다, 헐떧다---->희롱하다
흉보다, 놀리다, 헐떧다---->희롱하다 흉보다=순 한국어, 놀리다=순한국어 ko.dict.naver.com/#/entry/koko/7e55067e57c2448088c3582cc1dbb931 ᄒᆞ놀이다 거의 그대로 '희롱하다'
2020.11.03 -
아해-->아들
아ᄒᆡ / 아해-->아들 아이의 옛말 아해 중에 남자쪽 '아들' 아해의 ㅎ 에서 ㅅ =son
2020.11.03 -
하늘 호, 하늘 텬/천, 하늘 소, 하늘 민, 하늘 궁
하늘 호, 하늘 텬/천, 하늘 소 하늘 호(昊), ㅎ 그대로 복습이고 hanja.dict.naver.com/search?query=%E9%9C%84 하늘 소(霄), 즉 ㅎ이 ㅅ 되는데, 영어의 sky, 일어의 '소라' 의 ㅅ 인 것입니다. hanja.dict.naver.com/hanja?q=%E6%97%BB&cp_code=0&sound_id=0 하늘 민(旻) 하늘 건(乾), 궁(穹) 하늘에서 나온 한자어만 알아도 변음의 이치는 다 터득했을 것인데요....
2020.11.03 -
'해바라기' 에 붙은 자음은?
해바라기에 붙은 자음은? 해가우리, ko.dict.naver.com/#/entry/koko/b8fd784fc16e4fae8fb81cc413f04b49 해개부리 (함북) 즉 '보다' 앞에 ㄱ 이 붙은 것이니, 원래는 ㄱㅂ 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한자어 볼 견(見)
2020.11.03 -
가멸다=부자
ko.dict.naver.com/#/entry/koko/52a007e0b3eb43d9826a39aa02068dae 가멸다=부자 멸 부분의 ㅁ 이 ㅂ , 정도인데 애매한 단어입니다.
2020.11.03 -
아래 오/아 가 한자어에도
아래 오/아 가 한자어에도 아래 오/아 인 천(天)의 점이 주로 우리 한국어에 나타납니다. 모음의 첫 소리를 의미하고, 제주 방언에 더욱 많이 남아 있습니다. 한자어의 경우 '생각하다' 의 'ᄉᆞ량 ᄉᆞ' 에도 나타나는데, 역시 한민족의 일파라서 그러한 것입니다.
2020.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