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유전자학 (3520)
-
간촐하다, 단출하다? 네이버 퀴즈
간촐하다, 단출하다? 네이버 퀴즈 오늘 네이버 퀴즈에 나왔네요. ko.dict.naver.com/#/entry/koko/2bf7198b8017442ba47eff538ffdc088 정답은 단출하다지만, 간촐하다는 전남 방언입니다. 그러면 ㄱㄷ 에서 ㄱ 은 간촐하다, ㄷ 은 단출하다가 되지요. 다음 한자어는 '간단(簡單)' 하다가 됩니다. 원래 우리말은 '홀가분하다' ㅎ이 ㄱㄷ 되는 것입니다. ㅅ 되면 simple 간촐하다, 간편하다의 ㄱ 은 convenient 가 됩니다. 즉 '간흻하다' 에서 우리말은 '간촐하다', 한자어는 '간편(簡便)'하다, 영어는? convenient[컨비-니언트] 간=con 흘-->편=venient 제가 만든 문제: convenient 의 한자어는 '간편한', 순 우리말은 '간촐한..
2020.12.06 -
칸에 대한 생각
칸, 우리말 '마립간' terms.naver.com/entry.nhn?docId=1090527&cid=40942&categoryId=33375 마립이란 말은 크다의 말-이고, '-간'도 마찬가지로 큰 지위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2020.12.05 -
대장장이의 대장이란?
대장장이의 대장이란? 대장이란 불에 쇠를 달구어 단단하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달구다, 단단하게 하다, (쇠를) 다루다 '가 '대장' 이 됩니다. 쇠를 쇠다라고 하지 않지요? 쇠를 달구다, 쇠를 다루다 즉 ㅅ 옆에 ㄷ 있었습니다. 그래서 영어 steel 한자어 철(鐵)에 대한 고찰은 박대종 샘 글에 있습니다.
2020.12.05 -
구실과 노릇
사람 구실 좀 해라, 즉 사람 노릇 좀 해라... ㄱㄴ 에서 ㄱ은 구실, ㄴ 은 노릇 '구실'을 보통 ko.dict.naver.com/#/entry/koko/a27d20cf17a84573aad57a93ba2258d8 '그위실' 에서 온 것으로 알고 있고, '그위실'은 '관직(官職)'을 옆에 적어 한자어 '관직'에서 우리말 '그위실'이 나온 것으로 착각하게 만듭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f9d62b0c16ac484b9c246c62b7e83fc7 '그위' 만으로도 '관청'이란 의미로 사용되는데, '그위' 란 제주방언 '귀' 의 늘임말이고 '벼슬' 과 더불어 원래 고유 행정사법군사 우리말 입니다. 단위로는 '벼슬' 보다 좀 낮은 어감을 나타내는데 '사람 구실 좀 해라' 를 ..
2020.12.04 -
길을 급(汲)
물을 긷다, 즉 우물에서 물을 끌어 당겨 올리다. 긷다, 한자어 급(汲), 영어는 ㄷ 의 draw
2020.12.03 -
거슬리고 어그러지다=괴오하다
ko.dict.naver.com/#/entry/koko/784b90a244d64099b19a65c54c42411a 거슬리고 어그러지다=괴오하다 거슬리다 =괴(乖) 어그러지다= 오(忤) 혹은 '거흘리다' 의 ㄱㅎ 에서 ㄱㅇ =괴오(乖忤)
2020.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