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 탯말 고찰(645)
-
미미=구석구석
ko.dict.naver.com/#/entry/koko/78af2241ad684b38a7e3b0f754c8673f 미미=구석구석 ㅁㄱ 에서 ㅁ 은 미미, ㄱ 은 구석구석 미미 닦아라... 많이 들어 보셨지요? ''사회 썪은 곳을 미미 닦아라룡봉. ''
2021.01.04 -
마갈바람=남서풍
마갈바람=남서풍 ko.dict.naver.com/#/entry/koko/2ace54bb082e4878b5be65b34c7adb95 ㅁㄴ =마 남(南) ㅺ = 갈 서(西)
2021.01.04 -
마갈=산골
마갈=산골 (강원) ko.dict.naver.com/#/entry/koko/bd8fda47906d4cedb85519861e4777e4 마갈, ㅁㅅ 에서 ㅁ 은 '마', 즉 '뫼' ㅅ 은 '산'
2021.01.04 -
마간(馬間)
마간(馬間) ko.dict.naver.com/#/entry/koko/f182e4757bf344a4b2859c4f380793ef 말ᄭᅡᆫ----> 마간 우리말에서 나온 우리말인데, 한자어를 쓴 사람들이 우리 한족 일부이기에 가능한 이야기 이지요. 그래서 강원 방언에 ko.dict.naver.com/#/entry/koko/4400279a865e4a90a246523d85f01f92 ‘맗’에서 늘어진 ‘마호’--->‘마고’에서 ‘마고 ᄭᅡᆫ’ ---> 최종 마구간(馬廏間) ‘구’ 에 의미를 두자면, ‘말이 모인다’ 의 ‘모인다’의 ꥯᅠ에서 ㄱ 의 ‘구’
2021.01.04 -
마감니=어금니 (함북 방언)
마감니=어금니 ko.dict.naver.com/#/entry/koko/83821a927be94a84a03c6d57a38993a8 ㅁ에서 ㅇ 된 것 의미는 음식을 잘게 마스다/부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마스고 가는 니=마감니-->어금니 영어는? molar, grinder 마감니, 어금이 영단어 알어 몰라? 몰라 molar, '마스다'의 원형 ‘ᄆᆞᆶ’에서 '몰라' 감의 갈다 =grinder 놀랍지혜?
2021.01.04 -
마답=외양간
마답=외양간 ko.dict.naver.com/#/entry/koko/7ebae2b0aeae4089a13d259b72edf29f 경북 지역에서도 제주도처럼 소보다 말을 먼저 키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자로 馬라 했지만, 원래는 우리말입니다. 말에서 ㄹ 탈락 후, 마 입니다. 집은 앞에서 ‘ᄭᅡᆫ’이라고 했습니다. ㄱ에 대응하는 ㄷ 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답은 ㅼ에서 ㅅ 탈락, ㄷ 이 된 것입니다. 한자어는 댁(宅)에서 ㄷ을 찾을 수 있습니다. 외양간의 외는 마소를 말하고, 양은 기를 양(養)이 된 단어로 ㄱ 이 탈락 되어 ㅇ 된 것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d39e98b601814242a45f82ed92b76cba 즉 원래는 ‘뫼걍ᄭᅡᆫ’ 이었습니다. ‘뫼걍 ᄭ..
2021.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