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문자 연구(823)
-
ㅈ 은 고대한글 [고]
ㅈ 은 고대한글 [고] http://www.omniglot.com/writing/brahmi.htm 1) ㅅ 은 브라미 문자에서 [ㄱ]으로 납니다. 위에 수평선을 완전히 그어면 , [ ㅗ] 소리를 냅니다. ㅈ 홀로 있는 이 문자는 [고]입니다. ㄱ은 [ㅋ(g),kh]입니다. 2) ४ 인도데바나가리에서 숫자 4로 사용된 문자입니다. 명도전 위에 역시 홀로 있습니다. 브..
2009.01.22 -
고대한글과 브라미문자:工 가 [나] 그리고 점 세개인 [이]
고대한글과 브라미문자:工 가 [나] http://www.omniglot.com/writing/brahmi.htm 여기에 보시면 처음부터 제가 한글과의 연관성을 이야기한 브라미 문자입니다. 모든 인도 계열 문자의 조상이지요. 工 가 [나]라는 소리 음가입니다. 한국어와 완전히 일치하지요. 모음을 붙일 때, 원문자에 수평선 , 수직선을 붙여 모..
2009.01.22 -
고대한글로 명도전(흐도전)을 보면-해
고대한글로 명도전(흐도전)을 보면-해 1)은 대문구 팽이형토기에서 나온 문양(문자)에서 명도전의 명(明)까지 과정입니다. 2) 조(朝)읙 금문에서 명도전의 명(明)까지 과정입니다. 3) 고대한글로 명도전의 눈 모양을 해독한다면, 이렇습니다. ㅇ 은 ㅇ 이고, 위에 둥근 선 두 개는 바로 한글 "ㅎ" 을 나타낸..
2009.01.22 -
고대한글-모음
고대한글-모음 지금은 전혀 사용되지 않은 복합모음을 조선시대 초에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자음도 세 개를 붙여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그 만큼 소리의 표현 영역이 넓었다는 뜻이지요. 1) 훈민정음에 있는 모음 중 복합모음인데, "ㅇ" 이 없는 상태가 제일 처음 문자 모습입니다. 다음은 편의상..
2009.01.22 -
고대문자 문(文)을 살피다.
고대문자 문(文)을 살피다. 1)과 2)는 문(文)의 상형한자입니다. 2가지 형태가 시기에 따라 쓰였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고대한글로 살피겠습니다. ㅅ 아래 X 이고, X 위애 ㅗ 로 볼 수 있습니다. 3) X 위애 ㅗ는 한국인에게 매우 낯선 문자입니다. 하지만 티벳한글에서는 갈매기 처럼 생긴 문자를 원..
2009.01.21 -
음가 대응 : S -->[ㅅ]
음가 대응 : S -->[ㅅ] 고대 한글이 맞다면, 음가는 어떻게 대응시켜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현 국어사전에 보면, ㄱ 이 제일 많고, 다음 ㅇ,ㅅ,ㅈ,ㅎ,ㄷ 이 빈도 높은 소리입니다. S 의 빈도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S 에 해당하는 한글 모양새는 없지요. 바로 그리스로마영어 알파벳 소리를 대입하면 됩..
2009.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