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화폐(명도전)(203)
-
선우국 첨수도라 딱 나옵니다.
선우국 설명이고, 사진 2장 중 1장입니다. https://baike.baidu.com/item/%E9%B2%9C%E8%99%9E%E5%9B%BD/6642849 鲜虞国_百度百科 在周朝,对遵守周礼的地区称为夏,对遵守周礼的人们和民族称为华,对不遵守周礼的人们和民族称为蛮、夷、戎、狄。蛮在南方,夷在东方;西方的称戎,北方的称狄。 baike.baidu.com https://baike.baidu.com/pic/%E9%B2%9C%E8%99%9E%E5%9B%BD/6642849/0/8640bf8b341b6a309f2fb43a?fr=lemma&ct=single#aid=0&pic=8640bf8b341b6a309f2fb43a 鲜虞国图片_百度百科 baike.baidu.com 적(狄) 대형 첨수도 다시 말하자면, 고조선 부여의 첨수도
2022.02.25 -
중원 부유는 어디에? 복습
부여는 부유(扶柳)이기도 합니다. 형수시(衡水市) 아래에 있습니다. https://baike.baidu.com/item/%E5%86%80%E5%B7%9E%E5%8C%BA/19812800?fromtitle=%E5%86%80%E5%B7%9E%E5%B8%82&fromid=7137717 冀州区_百度百科 冀州区,隶属于河北省衡水市,位于河北省东南部,衡水市西南部,地处华北平原腹地,介于北纬37°18′40″-37°44′25″,东经115°09′57″-115°41′07″之间,属暖温带大陆性季风气候。全区总面 baike.baidu.com 지금은 익주구(翼州區)입니다. 春秋时期,北方戎狄纵横河北,现冀州区境曾属白狄的鲜虞国。 춘추 시기 북방 융적이 하북을 종횡으로 누볐다. 현재 익주구의 경계는 한 때 백적의 선우국에 속했다. 公元前489年..
2022.02.25 -
부여 왕 기중=대부여
부여 왕 기중=대부여 [옴니버스 한국사] 제7장.부여족은 어디서 왔나? (1) /Where the Buyeo(Fuyu) tribe came from ? 15분 9초 夫餘 王 其中 부여가 그 중에서 왕 노릇을 했다.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jo&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jo_004r_0010_0020_0080&position=-1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그 도장에 ‘濊王之印’이란 글귀가 있고 ..
2022.02.25 -
부여 의 허대동식 고어 고찰
부여 의 허대동식 고어 고찰 부여는 ‘부혀’였습니다. 그 이전으로 돌아가 보겠습니다. ‘부혀’는 ‘불혀’입니다. 보통 부여의 분국이란 의미의 ‘불영지’ ‘불리지국’ 등에 나타나고 ‘발조선(發朝鮮)’의 ‘발’이기도 합니다. ‘불혀’는 ‘붏’입니다. 여기서 ‘붏’은 하늘의 불의 ‘해’, 땅의 불, 그리고 ‘밝다’입니다. ‘붏’의 고어는 ‘ᄇᆞᆶ’ 이고 ‘ᄇᆞᆰ’입니다. 더 고어는 ‘ᄇᆞᆲ’입니다. ‘ᄇᆞᆲ’은 해달별이고, 빛이고, 가운데 중심이고, 하늘이고 땅이고 사람입니다. 한자어는 ㅂ이 ㅁ 되어 명(明)이 됩니다.
2022.02.25 -
다시 중원 사서와 대조합니다.
[옴니버스 한국사] 제7장.부여족은 어디서 왔나? (1) /Where the Buyeo(Fuyu) tribe came from ? 이진수님의 자료에 들어 있습니다. 13분 13초 상서대전에 해동제이, 부여지속 海東諸夷 夫餘 之 屬 해동의 모든 이족들은 부여를 따른다. 즉 부여국이 고조선의 맹주국 위치를 차지 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2022.02.25 -
부여를 소나무로 보는 견해 그리고 '밝'의 '부여'
부여 국명을 소나무로 보는 견해 일면 일리가 있어 보이고, 비파형 동검도 '소나무'로 볼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하늘의 소나무, 칠성, 바다의 배 모두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위 논문에서 '벌판' 되기전의 최남선 견해를 보겠습니다. ------------------------------------------------------------------------------- 부여의 의미를 현대 한국어 벌, 들판, 평야로 해석한 첫 사례는 최남선이다. 그는 부여란 본래 ᄇᆞᆰ(光明)에서 유래하여 넓은 평야를 의미하는 같은 음역 혹은 뜻새김인 벌(伐, 夫里, 弗, 火) 등으로 전화하였다고 한다. 부여의 중심지가 송화강 연안의 만주 평원 일대이고, ‘벌’, ‘부리’ 등의 지명이 서라벌․고사부리(古沙夫里) 등..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