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화폐(명도전)(203)
-
연나라 공부-1
연나라 공부-1 # 연소왕 진개의 동진으로 우리 강역이 많이 축소된 적이 있어 공부하는 마음이 아프지만, 그래도 자료를 낱낱이 살펴 보아야 할 터입니다. 전국 지도도 과장된 바가 분명해 보입니다. https://baike.baidu.com/item/%E7%87%95%E5%9B%BD/32366 燕国_百度百科 燕国(公元前1044年-公元前222年),周朝的周王族诸侯国之一,始祖是周文王庶长子召公,战国七雄之一。公元前1044年,周武王灭商后,封其弟姬奭于燕地,是为燕召公。公元前7世纪,燕国向冀 baike.baidu.com 周武王建立周朝后,将召公奭封在燕地(今北京市房山区琉璃河镇东北),建立臣属西周的诸侯国燕国。但召公奭没有前往燕地就封,而是派他的长子克管理燕地,自己则留在都城镐京(今陕西西安)继续辅佐周王室。召公以下九世无名无谥无年份,燕惠侯以下..
2022.02.02 -
만약 소위 명도전 발행 시기가 춘추 전기 중기라면?
만약 소위 명도전 발행 시기가 춘추 전기 중기라면? 지금가지 탐구로 우리는 특별한 시기를 찾아 냈습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28532
2022.02.01 -
연 북부 10여개의 성은 무엇인가?
하지만 기원전 314년 제(齊)가 연(燕)을 공격하자, 동맹을 깨고 연(燕)의 북부를 침공해 10여개의 성을 빼앗으며 영토를 넓혔다. 전성기 때 중산국(中山國)의 영토는 지금의 허베이성 중부의 스자좡[石家莊]을 중심으로 바오딩[保定]의 남부, 싱타이[邢臺]의 북부와 헝수이[衡水] 서부 일대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남북으로 약 200km, 동서로 약 150km에 이르렀다. 하지만 절차왕(재위 BC 312~BC 299)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면서 중산국의 국력은 급속히 쇠퇴하였다. 기원전 306년 조(趙)는 진(秦)과 결맹하여 중산국 공격에 나섰고, 연(燕)도 중산국으로 진공하여 빼앗긴 영토를 되찾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중산국 [中山國] (두산백과) BC314~BC 306 년 연나라에게 뺏은 북부 10여개 ..
2022.02.01 -
소위 명도전 주조 시기 춘추말기로 본 학자 견해
소위 명도전 주조 시기 춘추말기로 본 학자 견해 https://zh.wikipedia.org/wiki/%E6%98%8E%E5%88%80 明刀 - 维基百科,自由的百科全书 zh.wikipedia.org 먼저 앞에서 한 자료를 한번 더 보겠습니다. 1. 对于燕明刀的铸行年代,多认为是在战国时期,但也有石永士、王素芳等学者认为其铸行上限在春秋晚期。 연명도 주조시기에 대하여 다수는 전국시기라 하는데, 석영사(石永士), 옥소방(王素芳)등 학자들은 상한 연대를 춘추만기라고 본다, 2. 对于齐明刀的铸行年代,多认为是在战国晚期,燕国大将乐毅攻伐齐国,占领了齐国大量城邑后铸造的,在公元前284年至公元前279年间。但石永士、王素芳等学者认为齐明刀始铸年代与燕明刀相近,上限在春秋晚期,下限在战国早期; 제명도에 대하여서도 다수는 전국만기라 하는데, 연국..
2022.02.01 -
산융의 침공
https://baike.baidu.com/item/%E7%87%95%E5%9B%BD/32366 公元前7世纪时,山戎先后南下攻伐郑、燕、齐等国,燕桓侯时被迫迁都临易(今河北容城)以躲避山戎的侵扰。 BC 7C 전 시기에 산융은 남하해서 정나라, 연나라, 제나라등을 공략하였고, 연 환후는 지금의 하북 용성으로 천도를 하여 산융의 침략을 피하였다. # 이미 검토한 바 있습니다. 뜬금 없이 북경 아래 유리하까지 침략해온 연 세력을 산융은 반격을 가하여 연의 수도를 용성으로 몰아 내었다는 것입니다.
2022.02.01 -
북융, 적적 이 진출한 위국 경계선
https://baike.baidu.com/pic/%E5%8D%AB%E5%9B%BD/13232/1/fd039245d688d43f8794b144dc56c51b0ef41bd58d67?fr=lemma&ct=single#aid=1&pic=fd039245d688d43f8794b144dc56c51b0ef41bd58d67 卫国图片_百度百科 baike.baidu.com 북융, 적적 이 진출한 위국 경계선 황하까지 진출했다는 자료이고, 심지어 황하를 넘어 조(曺)나라 앞에까지 융(戎)이 진출해 있습니다. 그리고 북융이 연을 황하 아래로 몰아내었을 가능성도 위 지도가 시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2.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