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화폐문과 신석기토기무늬 (167)
-
진달래꽃 설명
1. 제 모조 그림을 먼저 보십시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newsview?newsid=20160609094738016 출처: 연합뉴스, 박상현 기자님 2. 마지막 단어를 따로 보겠습니다. '래꽃' 이라 읽을 수 있으신지요? 불가능하지예. 이건 확실하지예. 이 처럼 고대 상형한글 부적 문자가 이런 정도 상태였다는 것입..
2016.06.12 -
산동이 섬이 었던 시절?
1. 흥륭와 문화시절입니다. 우실하 교수님과 이형구 교수님 자료를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2016.06.07 -
한자음의 형성
1. 현재까지 추적한 제 연구 결과로는 이렇습니다. 천문을 만들고 천부인을 가진 경상도 고대 예족(한족)들이 북상하면서 북한을 지나 요하 지역까지 진출합니다. 혹은 서해의 해수면 상승으로 발해만에서 바로 이주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여기서 유명한 요하문명을 꽃피우고 기원전 30..
2016.06.07 -
가림토와 전통문양
1. 곽재우장군 기념관 앞의 전통문양과 가림토 X 입니다. 역시 하늘 표식에서 나왔습니다. 2. //// 과 井, # 은 배달 표식입니다. 3. 꼭 별자리에 대응 시키자면, 당시 봄을 알리는 '오리온 자리' 입니다.
2016.06.06 -
과거와 현재
현재 모 프로그램이 원시 부족을 찾아갑니다. 그들은 우리 문명사로 보면 훨씬 뒤떨어져 있습니다. 과거 토기에 산화철, 배를 만들고, 하늘을 관찰하고, 문자를 만들고..... 적어도 5천년전 최대 만년전 하신 '한국'에 대해 전 세계인들은 어떤 마음이었을 지요? 인더스 문명 조차 중국에서 ..
2016.06.03 -
요하를 넣어서
1. 요하를 넣어 그렸습니다. 2. 인더스 문자는 요하 문명에서 나온 문자일 가능성이 많지예. 그냥 단정하겠습니다. 인더스 문자는 우리 초기 한국 상형문자에서 나온 것입니다. 현 인도 남부 지역 , 구자라트 는 우리 겨레 자손들이지요. 2. 빗살무늬 토기의 길을 넣어 그렸습니다.
201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