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토연구(51)
-
기원전 1000년전에 북아프리카에 이미 한글 모양이 있었습니다.
기원전 1000년전에 이미 한글 모양이 있었습니다. -누미디아(베르베르) 문자 흔히 문자 발달 과정 상 한글처럼 뛰어난 문자가 후대에만 있었다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여기 북아프리카에 있었던 문자를 보시면, 한글이 거의 갖추어져 있으며, 심지어 ㄱ은 [ㄱ] 음가에 ㄷ은 [ㄷ] 음가에 ㅌ 은 [ㅌ]..
2008.12.19 -
권정선님은 혐의 없음
권정선님은 혐의 없음 지금까지 공부한 결과로도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권정선님 가림토 위조설>은 혐의가 없음을 보여줍니다. 이유를 적겠습니다. 1. 권정선님의 音經 문자는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을 토대로 한 문자 첨가로서 가림토 문자와는 모양새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2. 중성모음 배열 ..
2008.12.19 -
가림토 전면 연구-3
가림토 전면 연구-3 -중성(中聲:가운데 소리) 순서에 있어 1. 진짜일 가능성: 중성모음이 아시아 문자들처럼 초성자음보다 앞에 있다. 훈민정음과 音經은 모두 초성 다음 중성이 들어 있다. 1. 가짜일 가능성: 순서를 바꾸어 진짜 문자인 것처럼 하였다. -중성(中聲:가운데 소리) 숫자에 있어 1. 진짜일 가..
2008.12.17 -
가림토 전면 연구-2
가림토 전면 연구-2 -초성자음 병서(竝書)에서 1. 진짜일 가능성: 세종의 한글과 티벳문자 필기체에서 확실하게 보인 초성자음을 겹친 문자가 가림토에는 없어 한글의 아류라 보기 어렵다. 가림토는 모두 ㅅ 이 위에 있는 특징도 있다. 예) 1. 가짜일 가능성: 한글과 다르게 보이기 위해 초성자음 병서(竝..
2008.12.17 -
가림토 전면 연구-1
가림토 전면 연구-1 이제 한글의 비밀을 밝히고서, 인류의 마지막 진짜와 가짜를 가리는 가림토 연구에 본격적으로 들어갑니다. 한민족 신령님들이시여, 이 길을 밝혀주소서. # 그냥 형식상으로 가림토가 진위 여부를 모르겠다가거나 중립이니 잘 모르겠다가 아니라, 언어문자학적으로 그 모호함을 펼..
2008.12.17 -
가림토 공부-4
가림토 공부-4 권정선님께서 독창적으로 만드신 문자와 가림토 문자가 일치하는 경우는 3개입니다. X , 工 , &#20981; 하지만 이 3가지도 영어로마자나 한자에 들어있습니다. 어쨌거나 가림토 문자의 증명은 청동기 안에 새겨진 제품이 나와야 증명이 되는 것이고, 진짜 가짜를 떠나 문자적 고찰을 적어 ..
2008.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