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000년전에 북아프리카에 이미 한글 모양이 있었습니다.

2008. 12. 19. 12:46가림토연구

기원전 1000년전에 이미 한글 모양이 있었습니다.

-누미디아(베르베르) 문자


흔히 

문자 발달 과정 상 한글처럼 뛰어난 문자가 후대에만 있었다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런데

여기 북아프리카에 있었던 문자를 보시면,



한글이 거의 갖추어져 있으며,


심지어 ㄱ은 [ㄱ] 음가에

       ㄷ은 [ㄷ] 음가에

       ㅌ 은 [ㅌ]음가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을 보여드립니다.


점(•) 이 한글이나 티벳 문자처럼  동일한 소리 음가이며,

ㅏ, ㅓ, ㅜ 는 [h약한 발음 중의 하나]인데, 이는 세종의 중성 모음 혹은 한글의

[ㅏ]라 간주할 수 있는 음가의 문자입니다.


다음

수평선인 “ㅡ” 도 발음 음가에 [z] 로 되어 있습니다.

거의 유사한 소리이지요.

 

[z]가 끌면서 [즈] 소리를 내는 것이니,

한글 표기 [ㅡ]와 거의 동일 하다 봅니다.

 


H 와 工  가 [z]음가 중 하나로 좀 긴 발음에 배당되어 있으니

이도 한글 [이]와 영어  발음  I 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베르베르 문자에 오면, 누미디아 문자의 수평선과 수직선이

[u: 우 낮은 음]에 점 두개 (:) 와 [h]음가에 수평 점 4개와 [h]음가

낮은 음에 모아진 점 4개가 나타납니다.


또한 "凵" 과 "U" 음가가 [ㅁ,m] 에 배당되어 있어

입술 소리인 순음(脣音)을 대표하는 글자임이 이미 이때부터

전 세계에서 시작되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자료확인:

 

누미디아: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04n0656a

 

http://krdic.daum.net/dickr/contents.do?offset=A008320600&query1=A008320600#A008320600

 

 

 

누미디아 문자: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4&eid=+LtmSG1RdBiTTbtWeew4dkSdiPJj6sVG&qb=xry6qrmuwNo=&pid=fRVSJsoi5TNsstND5kNsss--477599&sid=SUsV7GYPS0kAABclCqY

 

  참고: 가림토에 있는 X , M  ,凵도 있습니다.

 

오른쪽 맨 아래 문자는 コ 안에    コ   들어간 문자인데 음가는

한글의 쌍 ㄷ(ㄸ) 이나 쌍 ㅌ 정도의 소리로서

같은 문자 모양을 겹쳐 강한 소리를 표현한다는 점도 놀라울 정도입니다.

 

 

 http://www.omniglot.com/writing/berber.htm

 

'가림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원전 500년의 sabaean 문자도 완전 도형  (0) 2008.12.20
훈민정음과 일본 신대문자 비교   (0) 2008.12.20
권정선님은 혐의 없음  (0) 2008.12.19
가림토 전면 연구-3  (0) 2008.12.17
가림토 전면 연구-2  (0) 200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