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 받는 가림토 M
2023. 12. 1. 21:14ㆍ말글경
제가 이미 함안 도자기 부호를 검토해서
세계 최초로 X 는 현재 사라진 ‘아음(牙音)’의 ‘훈민정음 ㆁ’ 에 해당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 M도 설명할 수 있을까요? 현재 분명 영어 알파벳 M 과 닮아 쉽게 M은 영어 알파벳으로 고대 조선에서 사용될 리가 없다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M 은 W 와 마찬가지로 함안 도자기 부호에 엄연히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환단고기의 가림토/가림다 의 ‘그릇 부호/그릇 글’을 조작이라 쉽게 단정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또 ㅌ 돌린 ヨ 도 가림토에 들어 있는데 이는 일어 가타가나의 ヨ [요]문자입니다.
또 ㅌ 는 티벳문자 ཇ [자/ja] 이고, 돌린 ㅌ 은 ཟ[자/za] 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생각해보면,
일방적으로 '위작'이라 하기 보다는 더욱 깊이 연구해야 한다는 사실을
가림토 X, M 은 알려주고 있습니다.
'말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초어 단어 4. ‘먹다’와 ‘마시다/들이키다’(복습과 보충 ) (0) | 2023.12.02 |
---|---|
문자의 흐름도 (0) | 2023.12.02 |
인류 태초어 말글경 11회 : 때 /time (0) | 2023.11.30 |
어순의 고정 관념을 넘어서 (1) | 2023.11.29 |
유튜브 강연입니다. (0) | 202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