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아음(牙音)의 ㆁ 은 꼭지 ㅇ 인데 바로 열쇠 구멍
2023. 1. 16. 19:43ㆍ말글경
훈민정음의 아음(牙音)의 ㆁ 은 꼭지 ㅇ 인데 바로 열쇠 구멍
훈민정음에는 숨겨진 코드가 있습니다. 여러 개 있지만 대표적으로 ㆁ입니다. 이 소리는 ‘아음(牙音)’이지만 ㄱ,ㅋ, ㄲ 과 달리 원형입니다. 또 원형의 ㅇ,ㆆ, ㅎ 과 달리 ㄱ의 ‘가로 횡(橫)’에 배치했습니다. ㅇ/ㆆ 과 ㄱ 사이를 포괄한다는 부호인데 묘하게 ‘열쇠 구멍’처럼 생겼습니다. 마치 고대 언어로 가는 열쇠 구멍 같기도 하고 실제로 그렇습니다. 아시아 문자의 소리 음가-특히 티벳어 소리-와 대응시키자면 ང་ [ㄴ 과 ㅇ 사이]입니다. 그런데 우리 한글 부호는 ㄴ, ㄷ, ㅇ 이 아닌 ㆁ 이고, 현재는 ㅇ으로 남게 됩니다.
이 부호는 한 번의 코드가 더 감추어진 이중 열쇠 구멍입니다. 바로 ㅴ/ㅵ의 ㄱ/ㄷ 이 서로 교차되는 원인을 알 수 있는 단어입니다. 심지어 서양어에서는 주로 ㅂ/ㅁ으로 나타나는 표식이기도 합니다. 바로 ㅄㆁ에서 전 세계 초성이 다양하게 발현되고, 종성도 ㄹㆁㆁ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ㆁ 에 숨긴 이중 열쇠 구멍의 부호를 풀어야 태초 언어 부호에 접근할 수 있는 것입니다. 어떤 문자 코드 풀기 소설과 영화보다 더 흥미진진하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말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vert를 통한 언어학 고찰 (0) | 2023.01.17 |
---|---|
‘싱글싱글 웃다’에 숨은 ㆁ (0) | 2023.01.16 |
또/다시, また[마타], 우(又), 독어 단어 und, 영어 단어 and 모두 다른 형태지만 (0) | 2023.01.16 |
‘나눌 분(分)’과 ‘다를/나눌 별(別)’의 ㅂ은? (0) | 2023.01.16 |
별성(星), 물수(水), 마음심(心), 뫼산(山) 등 합용 병서 고찰 (0) |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