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지르다/소리하다/소리내다 우리말 영어 독어 고찰

2023. 1. 6. 20:04말글경

소리 지르다/소리하다/소리내다 우리말 영어 독어 고찰

 

영어 표현은 sound, make a sound인데 make만들다가 아니라 하다/내다입니다. 고대 게르만 어순에 맞추자면 a sound make 소리-내다/지르다그대로입니다.

 

독어 표현은 ‘einen Schrei tun’입니다. einen Schrei tun[아이넨 쉬라이 툰]에서 우리말 소리가 그대로 쉬라이이고, ‘-하다의 ㄷ이 tun입니다. 우리말은 소리-하다에서 좀 더 강조하기 위해 ‘-지르다/-치다가 된 것입니다. 만약 독어 tun 대신 haben이라면 Schrei haben[쉬라이-하번]으로 거의 우리말 그대로입니다. 한자어는 ㅂ이 나타난 발성(發聲)-하다입니다

우리말에서 ()’의 ㅂ을 찾아보면 뱉다인 것입니다. ‘소리를 뱉다가 한자어 어순이 되어 발성(發聲)’이 됩니다.

 

 

 

그래서 소리나다의 라틴어는 바로 ‘sono[소노]’로서 소리내다를 그대로 줄인 표현입니다.

 

소리의 고어 에서 do, ‘내다에서 -’no가 됩니다.

 

특히 영어는 명사 동사 구분이 명확하지 않지만, 라틴어는 명사와 동사 구분이 확실합니다.

즉 우리말과 서양어가 먼저 헤어졌고, 라틴어는 다음 시기에 분리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