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걷고-발걷고-걷다, 보(步)걸음-보(步)걸음-걷다

2022. 10. 12. 20:02하늘첫말

 

()걷고-발걷고-걷다, ()걸음-()걸음-걷다

걸음 보 (tistory.com)

이전에 발 족()’밟다’ ‘딛다’ ‘가다/걷다에 다양한 공부를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걸음 보()의 고어 합용 병서를 ㅲ 이라 추정한 바 있습니다. /ㅂㆁ이 w 되어 walk가 됩니다.

 

 

여기 증거 자료가 티벳어로 나타나고, 또 최근 공부로 더 확실한 내용을 설명 드릴 수 있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113>>

 

སྐྱོད [ky ö h/ h]=걷다, 이동하다, 싣다 영토

문자 상 소리 표기: [skyod/ ᄸᅬ다]

 

가다앞에 ㅅ을 붙이면 ᄭᅡ다이니 ㅺ이 ㅅㅋ 된 것입니다. 문자 상으로 ‘-부분도 으로 나타납니다. ‘영토이니 옛말 ᄯᅡᇂ이니 티벳어 ㅺ의 ㅼ 인 것입니다. ㅅ이 우리말에 싣다로 나타나니 고대 원어가 풀어져 싣고 걷다가 되는 것입니다.

 

བསྐྱོད-བསྐྱོད -སྐྱོད

문자 상 소리 표기:[ bskyod- bskyod- skyod/ ㅄ굍-ㅄ쾯-ᄸᅬ다] 인데 여기 문자상 나타나는 ㅂ/b 이 바로 한자어 ()’인 것입니다. 우리말 천자문은 걸음 보()’ 인데 원래는 ㅲ 의 ()걸음인 것입니다.

 

현재 우리말로 고치면 ()걸음-()걸음-걷다가 되는

'발걸음-발걸음-걷다'이고, ‘걸음-걸음-걷다로서 우리말 순서입니다.

또 ㅂ이 탈락 된 후 ㅺ/ㅅㅋ 이 되고 현 티벳어는 ㅅ 조차 탈락 된다는 것을 한 번에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원래는 ()걷다와 같은 어원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래서 '고조선'과 '상나라'시기의 발음은

원형 ᄞᆞퟛ에서 같은 음가였고, 우리말은 동사에서 ᄞᆞᆯ다정도의 음가로 분리 되고 ᄞᆞᆮ다를 거쳐

한자어 ()’와 분리된 후

최종 걷다가 되는 것입니다.

 

 

[이전 공부와 설명 추가 ]

-이전 공부-

걸음=གོམ་པ[곰파]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00

 

걿/걸흠 --->걸음

 

'ᄀᆞᆶ흻'에서 ㄹ 탈락 곰, 흻에서 ㅎ의 ㅂ/

 

-추가

종성 ㄹㆁㆁ에서 곪파'에서 곰파란 티벳어가 됩니다. ‘걸어 가다의 티벳어는 གོམ་ འཁྱོལ[gom-kyö f/ 곰 쾨 f]인데 문자상 소리 표기는 [gom-akhyol/ -ㅇ쾰]입니다. 현 우리말과 대조해 보면 걸음/걸어이고, ‘걷다/가다입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00

གོམ་ རིམ [gom v-rim v/-]=걸음, 단계, 순서

 

걸음의 우리 추정 옛말 -에서 첫 종성 ㄹ 탈락 후 나타난 정도입니다.

 

[이전 공부]

 

 

발의 티벳어는 ཕི་ཀྲི [phi kir/ ㅍ히 킬] 인데, 우리말 ㅂ이 ㅍ 되고 ㅎ 이 늘어져 ᄒᆡᆶ에서 kir 이 됩니다. 특히 ph 에 보면 ㅂ에서 늘어진 ㅂㅎ을 볼 수 있는데, 이 ㅎ에서 한자어 ㅈ 의 족()이 되었다고 보아도 됩니다.

 

-수정 추가-

ㅲ에서 ㅍ-ㅋ 되어 나타난 것으로 의 고어 ᄞᆞᆯ에서 -이 되어 티벳이 되었고, /ㄱ이 ㅈ 되어 ()’이 됩니다.

 

다시 ㅍ-ㅋ을 ㅲ 으로 돌려서 음가를 추정해 보면 ᄞᆞퟛ이니 고대에는 우리말과 동일한 음가를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전 공부]

 

 

, 다리가 왜 티벳어 강파인가요?

 

 

이제 구태여 이리 저리 조합을 안해도 됩니다.

 

ㅳ에서 , 다리’, ㅲ에서 발 걷다, 티벳어 강파이렇게 됩니다.

 

그래도 그 문자와 변음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75>>

 

 

རྐང་ པ [ kang f pa f/ 캉 ㅍ 파 ㅍ ]=, 다리

문자 상의 소리 표기 : [rkang pa/ ㄹ캉 파]

 

지금까지 공부로 접근해 보자면, ㅂㄱ에서 ㅎㄱ/ㅎㅋ 된 후 문자로 ㄹㅋ 되고 ㄹ 탈락 후 ㅋ 소리만 납니다. ㅀ은 종성 ㅇ 과 ㅍ 의 파 로 나는데, ‘가 바로 우리말의 ᄒᆡ이고 초 고대는 ᅘᆡᆶ이었습니다. 현 우리말로 보면 걷는 부위’ ‘걷는 ᄒᆡ가 되는 것으로 /다리인 것입니다. 변음에 ㅎ/ㆁ 이 핵심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행/도보의 티벳 명사형은 걷다를 명사형으로 만든 소리로 나타납니다.

རྐང་ ཐང [ kang f thang f / ㅌ항 ]=보행, 도보

 

거의 우리말 걷다인데 부분이 ㅌㅎ/ th’ 로 표현되니 역시 에서 ㅌㅎ/th’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 아시아 소리의 초성에 붙은 ㅎ, 즉 ㄱㅎ. ㅋㅎ, , ㄷㅎ, ㅂㅎ, ㅅㅎ, ㅈㅎ, ㅌㅎ, ㅍㅎ 은 모두 ㆅ에서 나온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티벳어 보행/도보를 굳이 우리말 식으로 표현하자면 걷담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