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딛다’ 다음 ‘뮈다/움직이다/운동하다’의 티벳어 고찰

2022. 9. 22. 15:26하늘첫말

발로 딛다다음 뮈다/움직이다/운동하다의 티벳어 고찰

 

    논증 입증자: 허대동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44~245

 

모든 언어의 이치를 터득한 후 티벳어를 바라 보면 우리말과 한자어 형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나타납니다.

 

ㅲ에서 발로 걷다가 됩니다. ㅲ 다음 ㅁㄱ 이고 ㅁㄱ 다음 ㅇㄱ입니다. ‘움직이다의 우리 옛말은 뮈다/음즈기다입니다. ‘움직이다를 한자어라 생각하실 분은 없을 것입니다. ‘뮈다는 영어 단어 move이고, 활동하다의 act 는 우리말 ㅁ이 생략된 것입니다. 한자어는 ㅁ의 ㅇ이니 운동(運動)’이 나올 것입니다.

그러면 티벳어 단어를 살펴 보겠습니다.

 

 

འགུམ [güv/v]=움직이다, 활동하다, 이동하다

ㅁㄱ이 ㅇㄱ 된 문자에 ㄱ 소리만 담은 것이고, 종성 ㅁ은 문자에 있고 소리에는 사라진 경우입니다. 한 마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འགུམ་ སྐྱོད[güvkyoh/v h]=행동, 활동, 운동

두 번째 초성은 문자로 ㅅㅋ 인데 역시 ㅺ의 상대 ㅼ의 ㄷ 이 한자어 ()’이고, 우리말은 ㅺ/ㅼ의 ㅈ 의 입니다. 원래 우리말 움직이다움딕이다라고 추정할 수 있고 욶딕-하다에서 운동-하다가 됩니다. ‘움직이다에 하나 더 움직이다를 겹친 형태로 두 마디입니다. 그래서 우리말과 한자어는 --이다’, ‘--하다라고 좀 더 세밀하게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맨 앞의 ㅇ이 그대로 나타난 것이 우리말 움직이다의 움 이고, 한자어 ()’입니다.

 

འགུམ་ སྐྱོད་ བྱེད[güvkyohjew/v h ]=활동하다, 운동하다

 

동사형에 문자상으로 byeda[붸다]를 붙이고 현 티벳어는 가 됩니다. 우리말 사투리 종결어 ‘-/-/-/-/-가 나온 곳이기도 합니다. 우리말 표준어 ‘-하다가 사투리 ‘-/-/-/-/-로 나타나는 동일한 현상입니다.

그러면 이것은 세마디로 구성된 동사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단어 འགུམ་ ཙམ་ བྱེད [güv tsəh jew/v h ]=움직이다, 조금 움직이다

 

우리말 --하다/이다의 두 번째 초성 ㅈ이 ㅊ 된 경우입니다. 실제로 운동하다보다 우리말 움직이다는 움직임이 덜 한 어감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출처: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44~245>>

 

참고로 영어 단어 운동하다의 play는 우리말 뮈다의 ㅁ의 ㅍ입니다.

 

이렇게 발로 딛다에서 ㅁㄱ 의 여러 변화들이 나타나고, 한자어가 먼저가 아니라 고대 공용어 ꥯᅱᆯ-ᄭᅱᆯ-붸다가 먼저고 문자로 티벳어에 많이 남아 있고, 우리말 움직이다와 한자어 운동하다가 나타난 것입니다. 이렇게 단어를 두 개 겹치는 법칙으로 명사의 의미를 더 하고 동사형에 ‘-붸다를 붙이는 정확한 자료가 티벳어인 것입니다. 물론 한국어 결합 법칙과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