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도의 비도(非刀)

2022. 2. 19. 06:12고조선화폐(명도전)

첨수도의 비도(非刀)

선진화폐연구, 255~257쪽

중국학자가 '비읍(非邑)'이라 읽는 문자입니다.

 

이는 씨족으로 보면 '새의 조이족' 혹은 '조우관의 깃털'을 표현하는 '부여족'의 비국(肥國) 표현이거나

동물의 뿔을 표현하는 길상 문자입니다.

 

즉 사슴처럼 뿔 달린 동물을 잡게 해달라는 기원 및 길상 문자입니다.

 

그리고 chinese etymology 에 非를 넣어 보면 자형이 같은 듯 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그러나 어쩌다 보니, 부여의 비국을 표현하는 의미는 통하게 된 것입니다.

 

출토지=하북 고성(藁城)

 

--------------------------------------------------

또 다른 견해를 토대로 해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7466&cid=46620&categoryId=46620 

 

부여

서기전 2세기경부터 494년까지 북만주지역에 존속했던 예맥족의 국가. [형성 및 변천] ‘북부여’라고도 한다. 국호인 부여는 평야를 의미하는 벌(伐·弗·火·夫里)에서 연유했다는 설과, 사슴을

terms.naver.com

북부여’라고도 한다. 국호인 부여는 평야를 의미하는 벌(···)에서 연유했다는 설과,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의 ‘puhu’라는 말에서 비롯했다는 설이 있다.

 

만약 사슴을 뜻하는 '푸후' 라면 위 문자는 '사슴', 혹은 '부여' 라는 말입니다.

 

#

깃털로 가던, 사슴(뿔)로 해석하던지, 길상의 녹(鹿)으로 해석하던지, 한자어 비(非)로 접근하던지,

꿩 깃털 적(翟)으로 접근하던지, 조우관으로 접근하던지,

결론은 '부여'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