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광 합용병서와 세계언어

2021. 11. 13. 20:06우리 옛말 공부

빛깔, 빛 광(), 색깔과 세계 언어 비교 고찰

 

ㅴ 의 이치를 담고 있는 단어입니다. ㅺ에서 우리 고유어 이 됩니다. ㄱ은 한자어에서 ()’이 됩니다. ㅄ에서 ㅅ 은 한자어 색()이 되고 우리말 과 결합해서 색깔이 됩니다. ‘이니 ㅈ/ㅊ 의 인 것입니다. 영어는 color 이니 바로 ㄱ 의 칼러입니다.

이제 합용병서와 훈민정음에 담긴 비밀 단서를 통해서 빛 광()’이란 고대 우리말 ㅲ에서 분리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ㅲ 이 ㅂㄴ 되면 빛나다가 됩니다. /ㅼ 이 ㅈ/ㅊ 되면, ‘비추다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인류의 모든 이란 단어는 ㅲ을 토대로 현재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증명합니다.

 

먼저 일어는 ひかり[히가리/히카리]인데, ㅲ 이 ㅎㄱ 되어 나타난 것입니다.

몽골어는 ГЭРЭЛ[게렐]인데, ㅲ에서 ㅂ 탈락 후 나타난 것으로 한자어 ()’에 해당합니다.

인도네시아어로 sinar[시날], kilat[키라트]인데 ㅅ 과 ㄱ 이 나타난 단어입니다. ㅂ 은 어디에 있는가 하면, ‘비치다bersinar[브르시날]에 있습니다. ㅂ의 ber- 가 빠진 후 sinar 이 나오게 됩니다.

베트남어는 bức []으로 나타나는데 거의 우리말 과 같습니다.

인도의 힌두어는 प्रकाश[프라카시] 로서 ㅂ은 ㅍ, ㄱ 은 ㅋ 된 발음입니다.

인도의 구자라트어도 પ્રકાશ [프라카사] 로서 ㅂ은 ㅍ, ㄱ 은 ㅋ 된 발음입니다.

이렇게 아시아의 동서남북에 거쳐 모두 ㅲ 으로 구성된 단어들이고 빛 광()’으로 모든 것이 이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시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헝가리로 가보겠습니다.

 

헝가리어로 világ [비락]인데 ㅂ 의 v 만 나타납니다. fény[페니]는 ㅂ의 f, fénysugár[페니슈갈]은 ㅴ 이 모두 담겨있습니다.

러시아로 가면, свет[ᄲᅦ트/스베트]가 되는데 ㅄ 이 ㅽ 된 것입니다.

 

핀란드로 가면, 빛은 valo[발로]이고, 동사는 paistaa[파이스타]빛나다/비치다가 되는 것입니다. ㅂ이 ㅍ 되는 법칙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독어는 영어 light 에 해당되는 Licht[리히트]가 있는데, ㅲ 의 ㄱ 의 ㄹ입니다. 그러면 ㄱ 은 무엇이냐 하면 Gleiß[글라이스]이고, ㅼ 은 Strahl[쉬트라흘]로 나타납니다. 그러면 ㅂ 은 어디에 갔을까요? Brillanz[브릴란츠]로 엄연히 남아 있습니다.

독어, 네덜란드, 스웨덴, 덴마크어는 영어와 같은 게르만족 언어이니 모두 비슷합니다.

 

 

이제 라틴어로 마무리 해보겠습니다.

보통 lux[룩스], lumen[루멘]이라고 하고 ㅂ 은 f 되어 fulgor[풀고르]라 하는데,ㅲ 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빛 광이 라틴어 풀고르입니다. 받침도 ㄼ에서 라틴어는 ㄹ 만 남게 됩니다. ‘햇빛, 달빛, 불빛을 모두 jubar[유바르]라고 하는데 ㅂ//ㅎ 이 ㅇ 되어 -’, ‘바르가 되는 것입니다.

 

 

복습으로 티벳어 보겠습니다.

 

빛 광()의 티벳어 ꥰᅩᆨ/므독비교 고찰

 

간단하지만 중요한 단어를 보고 가겠습니다.

 

ㅲ에서 우리말은 영어 beam 되고, 한자어는 ㄱ 의 입니다. ㅲ 이라는 것은 일어 히가시가 간접 증명을 합니다. 그런데 티벳어는 므독이라고 하니 전혀 다른 언어 혹은 다른 발생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538>>

 

 

མདོག [do w/ w]=, 색깔, , 빛깔, , 색채

문자상 발음은 ‘mdog/ ꥰᅩᆨ입니다. 좀 눈에 들어오게 풀어쓰면 므독이 됩니다. 우리 옛말에는 ㅳ 은 자주 나오지만 ㅁㄷ 은 없습니다. ㅁ 과 ㄷ 은 변음 되면서 완전히 분리 되었기 때문인데, 티벳어는 분리되지 않고 ㅳ 이 ㅁㄷ 된 것입니다. 그리고 ㅳ에서 ㅂ 생략되 듯, ㅁㄷ에서 ㅁ생략 되고 현 티벳어 ㄷ 만 소리로 남게 됩니다. ㅳ 이니 ㅲ 이고 바로 빛 광()’이 되고 비가리에서 일어 히가리가 되는 것입니다. 티벳 문자상 ㅁㄷ 은 이미 제가 탐구한 우리말 표준어와 옛말/방언/세계 제어에서 많은 단어를 제시한 바 있습니다. 그 정확한 입증 자료가 바로 티벳 문자라는 것입니다. ㅄ에서 ㅅ은 한자어 ()’이 되고 우리말은 빛살/햇살의 ㅅ이고 영어는 shine 이 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 ‘빛 광ꥰᅩᆨ/므독은 전혀 달라 보이지만, 합용병서 이치와 변음 이치로 살펴 보면 모두 ㅲ/ㅳ에서 파생된 단어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시 우리말 과 한자어 빛 광과 전 세계 언어를 둘러 보았습니다.

 

네이버 사전과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여 본인이 세계 최초로 합용병서 ㅲ 과 훈민정음의 이치 빛 광()’을 통해서 인류 공용어 ㅴ/ㅵ에서 발생한 전 세계어를 완벽하게 입증했습니다

 

PDF 파일도 같이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