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ᄭᅥᆺ=속곳
2021. 11. 3. 18:18ㆍ우리 옛말 공부
속ᄭᅥᆺ=속곳
https://ko.dict.naver.com/#/entry/koko/81b976bd5bfb4b2eae49ae36d167da8b
‘속ᄭᅥᆺ’이란 표준어 ‘속곳’인데 ‘속옷’이란 뜻입니다.
https://ko.dict.naver.com/#/entry/koko/000c1ae07b7c4eddbc0d32a6fec8fffa
동의어로 ‘고의’ 가 있는데, 옛말은 ‘ᄀᆞ외’입니다. 이 단어는 한자어 ‘고의(袴衣)’에서 온 것이라 주장 할 만한데, 아주 특별히 우리말을 한자어를 빌려 적는다 하고 있습니다. ㅺ에서 ㅅ 은 ‘속’, ㄱ 은 ‘고’가 되고 ‘옷’이란 원래 ‘ᄭᅥᆺ’이었고 초성 생략 후 ‘옷/외’란 한국어와 한자어 ‘의(衣)’가 되는 것입니다.
이 사실만 보더라도 ‘옷’의 우리 고유어는 ‘ᄭᅥᆺ’이고 현대어 ‘곳’ 이 남아 있었던 것입니다.
ㅴ 의 ㅂ 이 ㅇ 되면 ‘옷’ 되는 것입니다.
영어는 ㄱ에서 clothes, garment 가 되고 상대하는 ㄷ에서 dress 이고, ㅂ이 w 된 것이 wear 인데, 우리말 ‘옷’과 ‘한자어 의(衣)’와 초성에서 만나게 됩니다. 한자어 ‘의복(衣服)’에 해당하는 단어기 apparel입니다.
'우리 옛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수 (0) | 2021.11.03 |
---|---|
속다=숙다 (0) | 2021.11.03 |
내보내다=배출(排出)하다, 송출(送出)하다 (0) | 2021.11.03 |
‘보내다’ 와 결합하는 복합 단어 고찰 (0) | 2021.11.02 |
소홈=소름 (0) | 202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