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꾸다/고치다’, 티벳 문자에 담긴 ㅴ, ㅲ, ㅺ

2021. 10. 30. 14:24우리 옛말 공부

우리말 바꾸다/고치다’, 티벳 문자에 담긴 ㅴ, ,

 

 

<<티베트어-한글 사전,

전재성 편저, 한국빠알리성전협회 , 276-294>>

 

티벳 사전에 보면,

 

ㄱ 다음 ㅺ, 다음 ㅲ, 다음 ㅴ 이 문자로 사전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먼저 ㅴ부터 보겠습니다.

이미 개조하다/ 개혁하다에서 공부한 단어입니다.

 

(복습)

བསྒུར་ བཀོད་ བྱིད [gyunkohjew][귄 코휴-]=개조하다, 개혁하다

문자 상의 소리 표기: [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

 

 

문자로는 ㅴ 이 남고, 소리로는 ㄱ 만 남아 있는 자료입니다.

 

먼저 우리말과 한자어 사이입니다.

 

고치고 바꾸다=개혁(改革)하다

 

고치다의 옛말은 고티다입니다. ㅵ에서 ㅂ 이 빠진 형태이고 최종 한자어 ()’로 나타납니다. ‘바꾸다의 ㅂ은 ㅎ 되어 ()’이 됩니다.

 

티벳어에 보면 문자상 앞에도 ㅴ 의 ᄢᅳᆶ이 있고 두 번째에도 ㅂㅋ 즉 우리말의 이 있으니 지금 우리말로 하자면 바꾸고 바꾸고 하다혹은 고치고 고치고 하다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디에서 그런 우리말을 찾을 수 있느냐 하면, ‘고티힐후다입니다.

 

앞의 고티고티하다/고티다’--->‘고치다가 되고 이 ㅂ 의 로서 한자어 에 해당합니다. 그래서 고티를 줄이면 이고 원래는 이니 ㄼ/ㅀ 탈락 후 가 되고 우리말 도 원래는 ᄒᆡᆶ/ᄒᆡᆰ이니 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티힐후다의 뜻은 그냥 고치는 것이 아니고 힘써 고치다입니다. 즉 최소한 2번 반복했다는 것입니다. 2번 반복하는 것은 우리의 가장 특징적인 언습인데 티벳어와 일어에 잘 남아 있습니다.

 

고치고 만드다/짓다ᄀᆡᆲ/ᄀퟄᆶ 짓하다에서 개조(改造)하다가 됩니다.

고치고 고치다/바꾸다ᄀᆞᆲ/ᄀᆞᆶ 바꾸다/ᄒᆡᆶ하다에서 개혁(改革)하다가 됩니다.

고쳐 바르게하다/바로잡다ᄀᆞᆲ/ㅴ 의 ㅺ 의 ㅈ의 정()인데 우리말 바로잡다잡다에 해당하여 개정(改正)하다가 됩니다.

 

 

바꾸고 바꾸고 ᄧᅳ다/하다혹은 고치고 고치고 ᄧᅳ다/하다가 바로 티벳 문자 상의 소리 표기인 བསྒུར་ བཀོད་ བྱིད[bsgyur(h) bkod(h) buida][ ᄢᅱᆯ ꥳᅬᆮ 뷔다]입니다.

영어는 다시 re + 바꾸다 vise =revice 이고, 다시 a- + 바꾸다의 ㅂ 의 ㅁ mend=amend 인데, re- 부분을 넓히면 우리말 ᄣᅳᆲ/ᄣᅳᆶ의 초성 ㄷ 이나 종성 ㅀ 에 해당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