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다, 드리다의 의미

2021. 5. 24. 08:333마디 9초성 영단어장

주다, 드리다의 의미 

 

손으로 주다

 

ㅅ에서 ㅈ 됩니다.

 

 

ㅅㄷ 이니 ㄷ 에서 '드리다' 입니다.

 

줄 급(給)이니, ㅅㄷ 에 응하는 ㅅㄱ 의 ㄱ 의 급입니다.

 

영어는 give..

 

한자어 영어 사이는 박대종샘 연구가 있습니다.

 

 

줄 수(授), 줄 사(賜),

ㅅㄷ/ㅅㄱ 에서 ㅅ 입니다.

 

우리말 초성 ㅈ 그대로 '줄 증(贈)'

 

 

줄 부(付), ㅄㄷ/ㅄㄱ 의 ㅂ 입니다.

 

 

순음 ㅁ/ㅂ 은 우리말에 '맡기다'가 됩니다.  

-----------------------------------------------------------

 

복습)

 

주다=suoda[수오다], =käsi[쾨시]

 

  손으로 주다이지만, 원래는 손으로 수다입니다. 한자어는 줄 수()’이고 ㅺ에서 ㄱ 의 줄 급()’이고 영어는 give입니다. ㅅㅎ에서 ㅎ 의 hand 이고 앞에서 언급한 ㅺ 의 ㅅ이 동사가 되어 ‘suoda[수오다]’가 되고, ㄱ 이 의 핀란드어 명사 ‘käsi[쾨시]’입니다. 한자어는 다 아시다시피 의 종성 ㄴ 탈락 ()’가 됩니다. 영어는 공식적인 표현으로 사용할 때 present를 사용하니 pre는 앞으로 sent 주다가 됩니다. ㅅㅎ 이니 변음이 진행되지 않았을 때 언어를 재구해보자면, ‘수호다에서 ㅎ이 ㅇ 되어 수오다가 됩니다. 한자어 수여(授與)’는 원래 수혀였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혹은

손으로 손ᄒᆡᆶ다‘-->수녀ᄒᆞ다--->수여ᄒᆞ다-->수오다(suoda: 핀란드어)-->수다-->주다(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