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어로 이루어지는 세계 언어
2021. 5. 23. 16:51ㆍ3마디 9초성 영단어장
동의어로 이루어지는 세계 언어
ㅴ/ㅵ 혹은 ㄱㄴ/ ㄱㄷ에서 순음, 치음, 아음, 설음 순서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ㅴ 은 보통 ㅂ 탈락 후 ㅺ 그다음 ㄲ 이 보통이지만, 경우에 따라 ㅲ 으로 나타난 후 ㄲ 될 수도 있음을 ’ᄢᅵ니‘에서 알 수 있습니다. 방언에 ’시걱‘이 되는 것은 ㅺ에서 나온 표현입니다. 그래서 ’밥 먹다‘에서 ㅅ 의 ’식(食)‘이 나오고 핀란드어 ’먹다‘의 ’syödä[쇠다]‘가 되기도 합니다. ㅅ은 우리말의 ’씹다‘입니다.
어른에게는 ’드신다‘라고 하는 이유는 ㅵ 의 ㄷ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 밥을 ’진지‘라고 높일 때 ’진지를 진지다‘ 하지 않고 ’진지를 드신다‘ 혹은 ’진지를 잡수시다‘ 라고 하니 ’ㅼ‘에서 ㅈ 되어 ’진지‘, ’잡수시다‘가 되고 ㄷ에서 ’드신다‘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이런 표현의 공통 3초성이 ㅵ 이니 우리 한국어가 인류 언어 중 가장 오랜 언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어로 have 로 사용할 때는 ㅂ 의 ㅎ 이고, eat 는 ㅯ 이 사라진 모음의 경우입니다.
영어에 ㅁ 도 있는데 바로 munch(아작 아작 먹다)입니다. 라틴어는 mando[만도]입니다.
그러니 이 지구상 언어는 모두 ㅴ/ㅵ 으로 이루어진 동의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마디 9초성 영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다, 드리다의 의미 (0) | 2021.05.24 |
---|---|
'있다'의 존칭어 '계신다'의 의미 (0) | 2021.05.24 |
살 거(居)와 ㅺ 고찰 복습 (0) | 2021.05.23 |
'그 거' 는 어떠할까요? (0) | 2021.05.23 |
솟구치다, 어디로? 위로, 떨어지다, 어디로? 아래로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