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동 과 주동목 어순이 겹친 문장 고찰
2021. 3. 20. 07:49ㆍ언어와 유전자학
주목동 과 주동목 어순이 겹친 문장 고찰
고전 중국어 문법 강의, 에드원 풀리블랭크 지음/양세욱 옮김, 궁리, 192
267 피장부야, 아장부야, 오하외피재(맹자 3상/1)
彼丈夫也, 我丈夫也, 吾何畏彼哉
그가 장부면 나도 장부다. 내가 왜 그를 두려워해야 하는가?
He is a man. I am a man. Why should I be in awe of him?
여기서 앞쪽 부분은 순서가 한국어처럼 되어 있고, 후반 문장은 큰 틀에서 한자어 어순입니다. 이렇게 고대에는 서술형 부분이 ~이다 인 경우(영어로 말하면 be동사) 우리말과 같고, 일반 동사의 경우는 현 중국어 어순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 동사도 제한적인 경우 우리말 어순과 같습니다. 이렇게 고대 한문은 지금 중국어와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예로 보아 고대 한문 형성기에 주목동 어순을 가진 고대 배달동이족이 큰 영향을 주었다라고 보는 것입니다.
'언어와 유전자학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잔-->해빛잔/배달잔 (0) | 2021.03.21 |
---|---|
빗살무늬토기 의 연결 (0) | 2021.03.21 |
‘이다’ 가 야(也)와 이(已)임을 논증한다. (0) | 2021.03.18 |
고전에 나타난 우리말 어순 증거자료 제시 (0) | 2021.03.18 |
문자 공부: 상나라의 건설과 그 이전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