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국 문양

2021. 2. 18. 07:21언어와 유전자학

배달국 문양 

 

산동 대문구 토기에 새긴 문양/문자는 바로 배달국(倍達國) 문양입니다. 기존에 황국(晃國)으로 해석했는데, 틀린 것은 아니지만, ㅂ이 ㅎ되니 우리말 번역은 베달/배달이고, 한자어는 황국(晃國)’이 되는 것입니다. 의 뜻은 밝다’ ‘빛나다이니 결국 똑 같은 말입니다.

 

이제 배달국국가 문양까지 보시고도 믿지 못하시겠지요.

 

고대 한국(韓國)의 의미는 결국 황국(晃國)’, ‘환국(桓國)’으로 크다’ ‘환하다’‘밝다’ ‘빛나다를 포괄하는 의미입니다.

 

본인은 고조선문자(경진출판사)에서 '해달나라' '해빛나라'로 해석한 적이 있습니다.

 

이 문양은 바로 '배달' 을 나타내는 고대 문자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8606222e086940d1b25f8898a3179a9b

특히 경남 사람들이 '볕'을 '베'라 하니

 

 

경남(가야, 경주) 은 배달국 자손임을 언어 속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문자 속에 ㅇ 은 해이고, 아래 달 모습은 빛이고,해빛/해볕, 줄여서 볕/베

 

달이 아닌 이유는 달이 해보다 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 문자/문양은 갑골문에 日 과 光 으로 나타나고 합쳐 晃이 됩니다.

 

아래 달은 땅이고 터이니, 아래 오봉산 으로 땅덩이를 대표한 것입니다.

-후대 山, 土, 地 로 파생되는 초기 상형 문자입니다.-

 

달리 '해가 돋을 대(㬃)'로 볼 수도 있는데, 의미는 '돋다' 라는 것이고 문자 모양은 '불'을 표현해서

해가 뜨는 모습과 번영을 상징했다고 보아도 됩니다.

 

 

마지막 문자는 동사로 해석해야 하니, '돋다' '빛나다' 가 되고

'빛나는 땅' 이란 표현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 조선의 朝의 月이 물인 이유는 바로 '땅'을 나타내기 위해 '물이 흐르는 땅'이라는 것입니다.

후대 月로 바뀝니다.

 

 

해의 위 아래

풀 초( )는 풀을 나타내고자 함이 아니라 빛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朝 처음 문자에서 月자리에 水 물처럼 보이는 것도 빛 光이 퍼져나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hanja.dict.naver.com/hanja?q=%E6%BF%A9&cp_code=0&sound_id=0

퍼질 호(濩), 퍼질 람(濫), 퍼질 예(샐 설(洩))가 그런 예로

水는 처음에 물이란 뜻과 퍼지다란 뜻을 모두 가진 문자 였다가 후대 분리됩니다.

 

 

 

hanja.dict.naver.com/hanja?q=%E6%9C%9D&cp_code=0&sound_id=0

즉 '해 日가 사방으로 빛나는 땅(물)'이 조선인 것입니다.

조선에서 鮮은 물고기와 양으로 바다와 땅을 표현하는 문자입니다.

됴/조(朝)가 아침이니 '아침'이란 '해가 돋는 시간'을 말하니 '배달''환국'과 동일한 의미입니다.

 

 

 

 

  땅의 경우 옛말은 ᄯᅡᆼ이니 더 원래말은 ᄯᅡᆶ이고, 초성 ㄷ 과 종성 ㄹ 이 나타난 것이 이고 종성 ㅎ 이 ㅇ 된 것이 입니다.

 

 

그래서 처음에 '볕ᄯᅡᆶ(국)'이라 발음했지만, '베달/배달' 국으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명도전'의 明은 바로 '배달''조선'을 말하고, 한자어로는 明이 아니라 晃이고(후대 빛이 달로 바뀌고  光이 회전하면서 명으로 읽게됨), 눈 동자는 日이고 쌍꺼풀은 光인 것입니다. 빛이 하늘로 퍼져 나가니 二란 쌍거풀이 되고, 땅으로 내려오면 땅에 부딪쳐서 一 이 되는 것입니다.

 

blog.daum.net/daesabu/18317210

그래서 이미 검토한 기와 문양에도 이 '배달' 문양을 새기는 것입니다.

 

blog.daum.net/daesabu/18298863

'발조선' '발해' 국명도 그냥 우리말 '배달' 과 동의어 입니다.

 

 

고령의 '볕달' 문자 표식과 대문국 '볕달' 문자를 비교해보면,

고령 문자가 더 고형임을 알 수 있고, 상형보다는 부호, 즉 한글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령의 은 해를 나타내고, ㅂ 은 빛을 나타냅니다. 원래는 빛이 위로 올라가는 부호문자 였으나,

대문구 배달 문자에서 빛이 아래로 내려 오는 상형 문자가 됩니다.

 

고령에서 ㅂ 으로 빛, 햇볕, 빛나다를 모두 표현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초기 한글 부호 형식입니다.

 

ㄴ 은 햇살의 '살' 로서 좀 더 강한 빛을 표현하고

ㅅ,ㄱ,ㄴ 부호의 원조가 되는 것입니다.

 

음가로 치면 '/ㅵ'에서 'ㅺ/ㅼ' 부분입니다.

 

 

그래서 환웅임금께서 내민 천부인은 바로 위 문양으로 된 도장을 말하는 것이고,

고령의 부호 문자일 수도 있습니다.

 

 

################

#############

 

##

#

 

이 표식은 해볕/햇살 표식으로 흔히 빛살무늬 토기는 바로 '배달' '환국' 표식인 것입니다.

 

해빛의 다양한 모습을 토기에 가득 새겼다가 점차 축소되는 과정에서

바위 부호 외에 또 하나의 한글부호가

탄생하게 됩니다.

 

 

'-달' 부분을 땅으로 보아도 되고, '돋다'라고 보아도 됩니다.

 

hanja.dict.naver.com/hanja?q=%E3%AC%83&cp_code=0&sound_id=0

그래서 '해가 돋을 대(㬃)' 라고 보아도 됩니다. 풀면 '일출(日出)'로 해석해도 되는 문자입니다.

 

이 5개의 봉우리는 몽골 국기와 부리야트 깃발에서는 위로 올라가서 3개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현 내몽골과 몽골은 이 배달국 문양을 사용 중인데-신용하 교수님 논저 인용, 지식산업사-

terms.naver.com/entry.nhn?docId=5803357&cid=43755&categoryId=43756

 

몽골 개관

[ 1. 국가] (2015.12월 기준) || 국명 ||| 몽골(МОНГОЛ, MONGOLIA) | || 민족 ||| 할흐 몽골족(90%), 카자흐족(5.9%), 브리야트계(2%) 등 17개 부족 | || 수도 ||| 울란바타르(Ulaanbaatar, '붉은 영웅'이라는 뜻, 해발

terms.naver.com

 

내몽골자치구

ko.wikipedia.org/wiki/%EB%82%B4%EB%AA%BD%EA%B3%A8_%EC%9E%90%EC%B9%98%EA%B5%AC#/media/파일:Flag_of_the_Inner_Mongolian_People's_Party.svg

 

내몽골 자치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몽골 자치구(몽골어: ᠥᠪᠥᠷᠮᠣᠩᠭᠣᠯ ᠤᠨᠥᠪᠡᠷᠲᠡᠭᠡᠨᠵᠠᠰᠠᠬᠤᠣᠷᠤᠨ Öbür Mongghul-un Öbertegen Jasaqu Orun 중국어 간체자: 内蒙古自治区,

ko.wikipedia.org

 

또 부여족 후손이라 보는 '부리야트' 또한 거의 이 문양입니다.

ko.wikipedia.org/wiki/%EB%B6%80%EB%9E%B4%ED%8A%B8_%EA%B3%B5%ED%99%94%EA%B5%AD#/media/파일:Flag_of_Buryatia.svg

 

부랴트 공화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랴트 공화국(부랴트어: Буряад Улас 부랴트 울라스 [bʊˈrʲɑːt ʊˈlɑs],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Буря́тия 레스푸블리카 부랴티야[*], 문화어: 부랴

ko.wikipedia.org

 

누가 보아도 '몽골''내몽골''부리야트 공화국' 국기는 바로 산동 대문구 토기 문양입니다.

 

몽골과 부여 후손이라 추정되는 부리야트 공화국의 국기를 통해서 우리 배달 겨레 일족임을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리야트'와 '부여' 도 '배달'의 변음입니다.

'배달'은 원래 ᄇᆡᆶᄯᅡᆶ이었으니 베리하트’ -->‘부리야트가 되고, 줄여 부여가 됩니다. ‘부여고구려로 이어지고, 남으로 내려온 부여족이 백제인들이고, 북으로 퍼진 부여족이 부리야트족입니다.

 

 

그러면 ㅂ이 ㅁ 되어 '몽'이 되었다고 추론할 수도 있으니, '볕'-->'몽',

나라 국, 몽골의 골 , 베(달)국=몽골,

혹은

몽=크다의 한의 변음, 골은 ㅂㄱ 에서 ㅂ 이 아닌 ㄱ 이 난 것, 굳이 한자어로 옮기자면

골은 광(光)

 

어느 쪽을 보아도 '배달국'의 변음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핀란드의 핀fin 이란 환의 ㅎ, 배달의 ㅂ 이 f 된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독일 게르만과 고구려, 고려는 '볕'의 ㅂㄱ 에서 나온 ㄱ 입니다.

원래 한자어는 '광(光)'을 쓰야 하지만 좀 더 포괄적인 한자의 뜻을 나타내기 위해 '고(高)'를

선택한 것입니다.

굳이 한자어 高를 통해서 생각하자면, 이는 높이 있는 해를 말하는 것입니다.

영어 gleam(깨끗하게 환하다)에서 알 수 있습니다.

 

영국이 자신을 돋보이고자할 때 Britain 이란 '벨닳' 그대로 나는 소리이고

England 는 ㅂㄱ 이 ㅇㄱ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