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아 놓다 =latoa[라토아], 잣 성(城)

2021. 2. 2. 22:02한국어=핀란드

쌓아 놓다 =latoa[라토아], 잣 성()

dict.naver.com/fikodict/#/entry/fiko/f90f71928ca643ceba77d784ea2a002d

     ‘쌓다는 한자어로 ()’이고, ㅅ 이 ㅈ 되어 우리 옛말 이 되고 제주 방언 돌담을 말하는 단어 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에서 ㄷ 은 이 되고 이 ㅈ 되면, 한자어 ()이 되기도 합니다.

 

제주 방언에 쌓다제기다라고 하니 ㅺ 이 ㅈ 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영어는 ㅅㄷ에서 stack, set up, 구조를 쌓으면 structure 가 됩니다. ㅂ 은 build, ㅍ 되어 pile 이 됩니다.

blog.daum.net/daesabu/18322594?category=152

라틴어도 struo[스트뤄]이니 우리말 쌓다인 것이고, ㅼ은 쌓아 두다이고, ㅻ 이 되면 쌓아 놓다가 됩니다. ㄴ이 ㄹ 되면, 핀란드어 latoa[라토아]가 됩니다.

 

영어 castle 쌓다-stle 앞에 괴다‘(돌이나 흙을) 끌어 모아ca-가 붙었다 생각하면 됩니다.

blog.daum.net/daesabu/18323819

더 분명한 방언이 전라도 우리 탯말에 있습니다. ‘게미다=쌓다, 그래서 게미다 + 쌓다=캐슬 castle’ 구조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