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름 고찰
2020. 12. 28. 14:24ㆍ방언, 탯말 고찰
ko.dict.naver.com/#/entry/koko/2f23307a4c5047e5b4392f305bc63cba
대가름 고찰
왜 호랑이를 대가름이라 할까요?
대는 크다라는 말이고,
'가름'은 갈범, 칡범의 다른 변음입니다
ko.dict.naver.com/#/entry/koko/917f1b24a4f0426bbe75d3ab63584faa
갈웜=갈범, 칡범
여기서 '웜'은 원래 '훰' 이라 보는 것입니다. 호(虎)의 출처입니다.
'갈'은 '칡'이 되는데
ko.dict.naver.com/#/entry/koko/3c1b28d8752347a18749fe6949419099
제주 방언 '끅' 에서 고찰했습니다.
'칡' 의 우리말 고어는 'ᄭᆞᆶ' 이고 ㅺ 이 제주 방언 ‘끅‘, 한자어 ’갈(葛)‘
표준어 ’칡‘ 이 됩니다.
칡소 가 나타나고
ko.dict.naver.com/#/entry/koko/7cc6a9e0de3045f2b50247f97b03c677
ko.dict.naver.com/#/entry/koko/de1452962a4843119163a908af2eeb22
제주 방언에 '식세'라고 하는 것은
ㅅㄱ 에서 ㅅ 에 나타난 '식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