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독 옹 복습

2018. 3. 24. 09:29환국대동훈민정음

43. 독 옹(甕) 복습


독은 담는 통이니, 통(桶)도 나오게 됩니다.


나무로 된 것은 통, 그릇은 독, 돓히 에서 동이, 단지(단디), 방언은 -히에서 항, 수팅이,

한자어는 항(缸), 옹(甕)


-네이버 국어사전 참조-


영어는 jar[자], ㄷ이 ㅈ 으로

그리고 통의 tank[탱크]


같이 담는 통은 컨테이너 container, 앞에서 했습니다.



1. 일어 [가메]. ㅎ 이 변음되어 ㄱ, 받침 ㅎ은 ㅁ 의 메

http://jpdic.naver.com/entry/jk/JK000000016842.nhn


[쯔보]

http://jpdic.naver.com/entry/jk/JK000000059223.nhn


담다, 닳흐=ㄷ 은 ㅉ, 흐 는 보


우리말의 '단디/단지'에 대응됩니다.



2. 몽골어 [바르/와르]

http://mndic.naver.com/#/entry/mnko/1823294



항 에서 바르, 와르


[트르흐]

http://mndic.naver.com/#/entry/mnko/1839417


닳흐 에서 트르흐, 즉 동히, 통 입니다.


3. 베트남어 chinh[친흐]

http://vndic.naver.com/#/entry/viko/1361794



독의 dh 가 ch- 로


항 그대로 후우

http://vndic.naver.com/#/entry/viko/1373518


4. 인도네시아 [근똥]


http://iddic.naver.com/#/entry/idko/420525


큰통 그대로 근똥, 항아리


5. 힌두어 जार[자리]

http://hidic.naver.com/#/entry/hiko/1077707


jhari , 담는 독 dh 에서 jh- 로



[하리야], 흙 항아리

http://hidic.naver.com/#/entry/hiko/1081441


우리말 항, 항아리 그대로입니다.



6. 라틴어 hydria[히드리아]

http://ladic.naver.com/#/entry/lako/562004



항아리가 거의 정확히 라틴가지 전달됩니다.



7. 러시아 [즈반]

http://rudic.naver.com/#/entry/ruko/227356



닳흟에서 ㄷ의 ㅈ, ㅎ 의 ㅂ


8. 터키어 kavanoz[카바노스]

그릇, 혹은 항에서 카바


9. 헝가리어

[호르도]hordo

http://hudic.naver.com/#/entry/huko/782556

10. 스웨덴 kruka[크루카]=동이

http://svdic.naver.com/#/entry/kosv/885908


즉 그릇의 그릏 그대로 크루카

11. 독어 Krug[크루크]


http://dedic.naver.com/#/entry/deko/2744998

즉 그릇의 그릏 그대로 크루크

12. 더 놀라운 영어 cup 도 그렇지만,

crock[크락]

정말 놀랍지혜.

http://endic.naver.com/enkrEntry.nhn?sLn=kr&entryId=ac008a244ff44d6eaf09baa0621f2ee4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44. 콩 두부 복습   (0) 2018.03.25
인류사에서 토기의 의미?   (0) 2018.03.24
42. 그릇 기 복습   (0) 2018.03.23
41. 피 복습   (0) 2018.03.22
40. 기장   (0) 2018.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