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3. 08:22ㆍ환국대동훈민정음
15. 토끼 토(兎) 복습
토끼 토, 거북 귀/구 , 모두 우리말입니다.
톯-->토끼
우연히 가능하지 않겠지요?
영어 hare[헤어], ㅌㅎ 에서 ㅎ 의 헤어
흘에서 '토끼 묘(卯), 준 '이 나오게 됩니다.
1) 일어: 우사기=ㅌㅎ 의 ㅎ이 '우사' 로 변합니다.
2) 몽골어 туулай[tuulai][투라이]
http://mndic.naver.com/#/entry/komn/3745474
원어가 톯히 라면 정확히 투라이
우연히 가능합니까? 특히 종성ㅀ이 정확히 -라이 가 됩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9491800&directAnchor=s395381p374960d437680
토깡이, 톳재이, ....
우리 방언과 몽골어 토라이/ 투라이 는 절대 대응됩니다.
3) 그리스어 λαγός[lagós][라고스],
톯에서 ㅀ이 라, 끼 부분이 고스
4)라틴어 lepus[레푸스],
라틴어에 오면, ㅌ 과 ㄱ 이 모두 빠져서
전혀 모르게 됩니다.
톯에서 ㄹ 부분이 레, 흟에서 푸스
5) खरहा칼하/kharaha
http://hidic.naver.com/#/entry/hiko/1075289
톯하 에서 ㅌ/ㄷㅎ 만 ㅋㅎ 으로 바뀌고 모두 동일합니다.
역시 '하'는 우리말 종성 ㅎ 을 정확히 알려줍니다.
6) 베트남어 thỏ[토흐]
그래서 베트남어는 정확히
우리말 ㅌㅎ 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7) 인도네시아어 terwelu[테르월루]
http://iddic.naver.com/#/entry/idko/1489173
톯흟=테르월루
8. 캄보디아 [뚬사이],
http://khdic.naver.com/#/entry/kokm/157744
[뚬사이], 톯 희 에서 톯은 뚬, 희는 사이
9. 헝가리어에는 아이들 말로 그 흔적을 남겨 둡니다.
'환국대동훈민정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쥐 서 복습 (0) | 2018.03.13 |
---|---|
16. 거북 구 복습 (0) | 2018.03.13 |
14. 코끼리 상 고찰 (0) | 2018.03.12 |
구렁이도 라틴어에 있다면? (0) | 2018.03.11 |
13. 뱀 사 복습 (0) | 2018.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