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식을 그레인으로 살펴보면,

2018. 2. 1. 19:46환국제주방언세계어

곡식(穀食), 곡의 순 우리말을 찾을 수 없었는데,


제가 '고고리' 란 제주 방언에서 찾았습니다.


영어 grain [ㄱ뤠인]을 참조하자면,



 '곯ㅎ' 이 원어라고 보고, ㅎ 은 ㅅ 으로 변하니 '식' 이 됩니다.


'이삭'이란 우리말도 이런 경로 속에 나온 순 우리말이라 봅니다.



  곯흐 , 고고리, 곡식, 그레인 grain


이런 변천을 재구성 해보면,


원어에 제주 방언이 제일 가깝습니다.


그리고 곡식에 해당하는 순 우리말을 특정할 수 없는데,


꼭 꼭꼭 씹어 먹어야 하는 이유는


'고고리' 에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더불어

고려의 어원도 추정할 수 있지요.



 곡식을 처음 찾고 재배한 나라, '농자지 천하 대본'이라 쓴 나라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바다에서는 고래와 (물)고기가 되지요.


즉 이동 수렵 시대를 마감하고

농작물을 재배한 첫 나라 정주 생활을 시작한 위대한 환겨레라는 것입니다.


 밀, 보리, 벼 순으로 ...


 그 위대한 겨레의 첫 흔적이 가시권에 들어 왔습니다.

'환국제주방언세계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착하다, 놀랄 경   (0) 2018.02.01
게의 제주 방언은?  (0) 2018.02.01
사슴 녹   (0) 2018.02.01
숫자와 제주방언   (0) 2018.02.01
무우로 입증하는 제주 방언   (0) 201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