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표

2016. 5. 1. 17:04국명 흐 의미

 

연도

역사

자연현상

출처

2만-만년전

구석기 후반

서해안이 초원이라고 추정, 환국

  네이버 사후(casahoo)

자료로 정리해본

한국고대사

만년전(기원전 8천년전)

신석기 시작

빙하기 종료, 눈이 서서히 녹음

일반론

8천년전(기원전 6천년 전)

환웅 신시배달 시작

신석기 시기

서해 7.3m 상승

지구과학사전, (사)한국지구과학회, 2009. 8. 30., 북스힐

4천년전후(기원전 2천년 전후)

고조선 시작

서해 1.7m 상승

지구과학사전, (사)한국지구과학회, 2009. 8. 30., 북스힐

해수면 상승기는 남해와 발해만 일대와 동일한 4,300년 전 경임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이동주(2008)

 

기원전 2000년 경 해수면 상승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나라를 다스린 지 삼십여 년에 홍수를 만나 큰 파도는 하늘에 넘쳤다. 요동과 만주는 벌판이어서 패수가 넘치고 평양이 잠겼다.

해수면 상승 예측

규원사화, 73쪽, 한뿌리, 북애 지음/고동영 옮김

 

정사 50년(BC2284), 홍수가 크게 나서 백성들이 쉴 수가 없었다. 제께서는 풍백인 팽우에게 명하여 물을 다스리게 하고 높은 산과 큰 강을 평정하여 백성들을 편하게 하였으니....

해수면 상승 예측

한단고기, 58쪽,

정신세계사, 임승국 번역 주해

 

 

 

 

 

 

* 홍수가 2번이었을 수도 있다. 하우도 홍수를 당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즉 단군 치세 후 30년 뒤 첫 대홍수가 있고 10년 뒤 홍수가 물러간 후,

2차 홍수 시기는 한단고기의 기원전 2284년 일 것입니다.

'국명 흐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를 판결하는 과학적 방법   (0) 2016.05.04
이 땅의 어른들   (0) 2016.05.01
부루와 하우의 만남  (0) 2016.05.01
비파형 동검   (0) 2016.05.01
바다와 홍수 그리고 고조선  (0) 2016.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