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크랩]초계정씨(草溪鄭氏) 시조(始祖)

2009. 6. 8. 15:39대한민국 가문 탐구

[출처] http://user.chol.com/~chungyy/chungyy/04_root/1_choge/choge-3.htm

  Choge-3- 초계와 초계정씨(草溪鄭氏) 시조(始祖) ........


시조 초계군(草溪君) 정배걸(鄭倍傑)의 묘소
(소재지 : 경남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시조 초계군(草溪君)의 사당: 光德祠
創建: 정조 23년(1788년)
重建:1980년 10월
(소재지 : 경남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초계(草溪)는 어디에 있는가?


위성에서 본 초계정씨 시조공 묘소와 옥전서원  

초계(草溪)는 경상남도(慶尙南道) 합천군(陜川郡)에 속해 있는 지명(地名)으로 본래  신라(新羅)의 초팔혜현(草八兮縣)인데, 경덕왕(景德王) 때 팔계(八溪)로 고쳐서  강양군(江陽郡: 합천)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가 고려(高麗) 때는 초계(草溪)로 하였고 1018년(현종 9) 합주(陜州)에 속했다.

명종(明宗) 때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1316년(충숙왕 3)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고, 1913년 합천군(陜川郡)에 병합하여 지금은 합천군(陜川郡)에 속한 초계면(草溪面)으로 남아있다.


초계 정씨(草溪鄭氏)의 시조(始祖)는?



▲초계(草溪) 정씨 시조 정배걸(鄭倍傑)의 묘소 
 



 ▲광덕사의 光儒候 鄭弘文公 倍傑의 초상화, 위패
 

초계 정씨(草溪鄭氏)의 시조(始祖)는 고려초(高麗初)에 학자(學者)로 이름난 정배걸(鄭倍傑) 이다. 배걸은 초계 성산(草溪城山) 출신으로 1017년(고려 현종 8년) 장원으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문종(文宗) 때 예부상서(禮部尙書) 중추원사(中樞院使)에 이르렀으며, 문종 4년 8월에 졸하였다. 사숙(私塾)을 열고 많은 제자들을 가르쳐「십이공도(十二公徒)」의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어 유가(儒家)의 대가(大家)요, 백세(百世)의 존사(尊師)라 일컬어졌다.

홍문광학추성찬화공신(弘文廣學推誠贊化功臣)으로 개부의동삼사수태위문하시중상주국광유후(開府儀同三司守太尉門下侍中上柱國光儒侯)에 이르고 시호는 홍문공(弘文公)이다. 후손들은 초계(草溪)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부인(夫人) 최씨는 현이무자(賢而無子)하고, 계부인최씨(繼夫人崔氏)에서 유복(遺腹)으로 자(子) 문(文)이 출생하였으며, 시호(諡號)는 정간공(貞簡公)이다.

정간공이 3자를 두었으니, 형부원외랑(刑部員外郞) 휘 복공(福公),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 휘 복경(福卿), 휘 복유(福儒)이다.



 
▲시조 정배걸(鄭倍傑)의 묘도표

        묘도표의 내용

 高麗禮部尙書中樞使贈弘文廣學
 
推誠贊化功臣開府儀同三司守太尉

 門下侍中上柱國光儒侯鄭公諱倍傑

 夫人崔氏副室幷祔墓道之表

            ※ 위 비문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와 같이 주(註)를 첨부했다.(27세 시환) 
禮部尙書 : 高麗六部(吏,兵,戶,刑,禮,工)의 하나, 正三品. 현 교육부 및 외무부 장관격
中樞使 : 從二品 = 中樞院使
弘文廣學 : 학문을 보급하고 배움을 넓힘.
推誠 : 제 참 뜻을 남에게 미치게 함.
贊化功臣 : 고려 때 공신에게 준 勳位
開府儀同三司 : 高麗 成宗 때 전의 大匡을 開府儀同三司로 부름. 文宗 때 文官의 最高品階인 從一品으로 제정.  한 때 崇祿大夫로 개칭, 그 후 壁上三韓三重大匡(광)으로 불렀다.
守太尉 : 三公(太尉,司徒,司空)의 하나 正一品 宗室祿 三百石
門下侍中 : 高麗門下省의 最高 官吏로 從一品. 現 國務總理格
上柱國 : 고려 문종 때  正二品의 勳位(階)로 직무가 없는 명예 관직
⑩副室 : 적은 집, 둘째 부인
⑪幷: 함께 또는 나란히 장사지냄 (합장)

출처 : 홍문공의 후예
글쓴이 : 멘토의가르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