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5. 5. 18:20ㆍ연문자연구
연문자의 예를 보여드립니다.
여기에서 공개한 자료 중 연문자(燕文字)부분만 발췌했습니다.
주소: mebag.com/20/pdf/2004-04.pdf
藝術論文集刊 第三期
東周戈劍兵器銘文造形研究
陳信良
(5)〈左行議率戈〉 戰國中期
一九七○年河北易縣出土,長21.6公分,現藏河北省文物研究所。胡部有5字銘文,釋文:「左行議率戈」。一般習見的燕國兵器多為鑄銘,文字平直方整棱角突出,看得出是製模壓印鑄成。此件則為器成之後以刀補刻,書寫筆意雄強畢現。刻銘極為自然、質樸、可愛,是良好的刀筆書法金文作品18。再與他物比較,能知鑄銘文字與雕鑿文字的不同處,可說是各有千秋。
<<위 내용은 1970년 하북 이(역)현 에서 출토되었고, 현재 하북박물관에 있고,
일반적으로 연나라 병장기에 있다고 보여지는 문자라는 것입니다.
좌행의솔과(左行議率戈)>>
아마도 좌행의는 근대의 좌의정 이고, 솔은 통솔직위 혹은 이름을 의미하는 것이고,
과는 창의 종류인 꺾창인 과입니다.
혹은 하부 군대의 한 장군이나 장교의 꺾창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좌(左) 아래 행(行) 이 나옵니다. 그리고 5번째 과(戈)도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현재 한자라고 인식할 수 있는 문자로 2-3 문자가 이어져야
연나라 문자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명도전 위의 문자는
이런 모양새가 아닙니다.
左 아래 연나라 한자라고 인식할 수 있는 문자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연문자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고문자전 검토(戰國古文字典) 검토 (0) | 2009.05.27 |
---|---|
좌(左)의 필체로 명도전이 연나라 화폐가 아님을 밝히다. (0) | 2009.05.18 |
연문자- 연왕희 00 협과 (0) | 2009.05.12 |
연문자-공(恭) (0) | 2009.05.12 |
연왕의 검과 꺾창 (0) | 200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