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1. 22:25ㆍ가림토연구
가림토에 대한 고찰 (권재선 님) 반론-5
“뿔달린 ㅎ” 에 관한 문제
권재선 님의 “가림토에 대한 고찰”
한글 제 224호(여름) 188쪽(1994년)
잘 안보입니다만, 핵심만 설명하겠습니다.
ㅎ(뿔달린 ㅎ인지 그냥 ㅎ 인지 판단 못함)이
1)언해본 훈민정음(1457)
2)훈민정음 운해(1750)
3)음경(1906)에 있다가
4)가림토(1911) 에 없는데, 이 [ㅎ]자리에 음경의 저자이신 권정선 님
께서 위조로 ㄱ 위에 ㅡ 을 그은
것이라 권 재선 님께서 주장하셨습니다.
음경을 저술하신 권정선 님께서 단군사상에 심취하셨거나 암울한 조선말을
극복하기 위해 물론 그렇게 위조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훈민정음에도 있고, 본인도 [ㅎ] 소리에 “ㅎ” 문자를 적고 있는데,
갑자기 “ㅎ” 자리에
을 넣어 위작했을까 의구심이 듭니다.
제 생각에는 이
은 우리 소리 [ㄲ: ㄱ 의 강한 음]에 해당하고, ㅎ 자리에는 다른 문자를
넣어야 될 것 같습니다.
예로 지금 영어로마자 H 가 [ㅎ]소리 후보가 될 수 있습니다.
권재선님은 이 H 를 모음 ㅐ 라 보고 있습니다.
저는 자음으로 봅니다. 모음은 이미 가림토 첫 줄에 제시되어 있고,
두 번째 줄 부터는 자음이 시작되는 것입니다.(위조라 해도)
1)언해본 훈민정음(1457)
2)훈민정음 운해(1750)
3)음경(1906)에 있는 멀쩡한 [ㄲ] 소리에 해당하는 문자는 가림토에
배당을 하지 않고,
또
1)언해본 훈민정음(1457)
2)훈민정음 운해(1750)
3)음경(1906)에 있는 멀쩡한 [ㅎ] 소리에 해당하는 문자는 가림토에
“ㅎ”이 없다고,
을 배치하니 좀 어색합니다.
제 생각) [ㅎ]소리에 해당하는 문자는 H 이고, ㅒ 처럼 두 줄이 있는 것은
[ㅎ]소리의 강음 [ㅎㅎ]에 배당해야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 작은 낱개의 문자는 권재선 님의 “가림토에 대한 고찰”
한글 제 224호(여름) (1994년)에서 가져왔습니다.
'가림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림토 공부-1 (0) | 2008.08.05 |
---|---|
[스크랩] 가림토 비판 (0) | 2007.11.06 |
가림토에 대한 고찰 (권재선 님) 반론-4(ㄱ과 단군시대) (0) | 2007.02.01 |
가림토에 대한 고찰 (권재선 님) 반론-3(변형에 대한 문제) (0) | 2007.02.01 |
권정선 님에 관한 기본 정보 (0) | 2007.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