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마디 9초성 영단어장(521)
-
그릇=bowl, basin, crock, crockery
그릇의 영어가 왜 bowl, basin (대야) 일까요? https://en.dict.naver.com/#/entry/enko/c42f141644a744e39fd199aa4ebfbdeb ㅂㄱ 이지요. ㅂㄱ에서 ㅂ 은 bowl, basin, ㄱ은 그릇, crock, crockery 우리말 그대로 crock (복습) 한자어 처음 천자문 외울 때, '볼 시'가 아니라 '볼 보(䀯)'라고 외운 들, 그릇 영단어가 bowl 먼저가 아니라 crock 이라 먼저 외운들 고개나 갸웃 했겠냐 만서도.... 어쨌거나 가다보면, 깨우친 사람들을 만나겠지. 룡봉. 다음 구유, 말그릇을 외웁니다. 말구유도 그릇 종류이니 파생 단어 crib 부터 시작합니다. https://blog.daum.net/daesabu/18325824
2021.06.15 -
번역기 수준
거의 정확하지요? 심지어 글을 읽어 주고 소리 표기까지 한글로 해줍니다. 영어 뿐만 아니라, 왠만한 언어는 다 번역해 줍니다.
2021.06.12 -
ㅀ 이어서 2탄
https://blog.daum.net/daesabu/18325799 46. 규합하다, 다시 정리하다, 모으다=gather, 다음 ㅀ 의 rally 회복하다 =regain, revitalize, restore, revive, recover, recuperate, 다음 ㅀ 의 rally 47. 부딪치다 =strike, smash, bump, butt, collide, jar, 다음 ram 즉 ㅂ에서 butt, bump, ㅅ에서 smash, ㅼ에서 strike, ㄱ에서 collide, ㅈ 의 jar 우리말 ‘부딪치다’는 ㅳ에서 나온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48. 방어하다=defend, buckler, 다음 rampart 49. 정리하다=organize, order, arrange, 다음 ㅀ 의 range ..
2021.06.12 -
살피다 복습
살피다 복습 살=sur 피=vey survey[써-베이] =살피다 한자어는 그대로 ‘성찰(省察)’이 됩니다. ‘ᄉᆞᆶ’에서 한국어 ‘살’, 영어 sur, 한자어 ‘성(省)’이 되고 ‘ᄒᆡᆶ/ᄑᆡᆶ’에서 한국어 ‘피’, 영어 vey, 한자어 ‘찰(察)’이 됩니다. ㅺ/ㅼ 의 ㅈ/ㅊ 의 ‘찰’이라 해도 됩니다.
2021.06.11 -
밝다 입증
https://blog.daum.net/daesabu/18325373 밝다=bright 동사, 형용사 구분이 없었던 시절입니다. ᄇᆞᆶ다-->븛다-->브라이흐드-->브라이흐트-->브라이트 bright 우리말은 ᄇᆞᆶ다-->볽다(방언)--->밝다 정확하게 우리말과 영어가 고대 같았다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b 다음 r 사이의 모음 ㅡ 의 근원 '아래 오/아 .' 의 이치를 깨달아야 합니다. 해(가) 밝다. ᄒᆡᆶ ᄇᆞᆶ다. =Helio (is) bright. 한국과 게르만(서양인)이 같이 있을 때 ....문장. 한자어 = 일(日) 명(明) ‘ᄒᆡᆶ’에서 ‘힐-->일’, ‘ᄇᆞᆶ’에서 ㅂ이 ㅁ 된 후 ㄹ 탈락 ‘몋-->명’ 이 됩니다. 이렇게 천지개벽을 통해 세상 이치가 밝아지는 것입니다 룡봉.. 이제 좀 깨..
2021.06.11 -
말구유 복습
https://blog.daum.net/daesabu/18321667?category=161 구유, 말구유 구유, 말구유 구유, 즉 그릇의 일종 영어는 crip https://en.dict.naver.com/#/entry/koen/6aa8b7f8f5b646bd93367b737e94375b 여물의 물의 man + 그릇 ger=manger 쉽게는 말 man + 그릇 ger=manger trough 는 말.. blog.daum.net 구유, 말 구유 복습 그릇이니 crib[크립], 그릇 거의 비슷합니다. 영어 한글 표기를 보면, 중성 모음 ㅡ 부분이 같습니다. 즉 영어 bright 의 경우 '밝다'가 원래 '븛다' -->'브라이흐다'-->브라이흐트--->'브라이트' 로 정확히 나타납니다. 영국 방언 cratc..
2021.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