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제주방언세계어 (1512)
-
닭텅에
닭텅에=닥둥우리 의 제주방언 이 단어로도 제주 방언이 원조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닥으둥지, 닭으둥지(평북방언) -네이버 국어사전- '닳텅히' 라면, -히 에서 나온 -리, -지 -리, -지 는 이미 물고기와 다양한 방언에서 증명된 바 있습니다.
2018.02.04 -
두 이
두, 이틀, 두 이(二) 숫자 아래에도 ㅎ 을 붙였지만, 숫자 앞에도 붙입니다. 히둟 에서 히가 이로 우리말에 '이틀'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한자어 두 이(二) 하나 히 둟==>히틀==>이틀 히 셇 , 사흘 : 흘이 뒤에 붙습니다. 히 넳, 나흘: 흘이 뒤에 붙습니다. 히 다섫===>..
2018.02.04 -
남풍의 진정한 증명 =늦바름
남풍=늦바름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217600 서남풍, 원래는 서남풍이었으나, 한자어로 정착되면서 늦이 남(南)이 됩니다.
2018.02.04 -
닁끼리다
닁끼리다=미끄러지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229700&directAnchor=s86747p55314d123455 닝에서 미 남풍=마파람
2018.02.04 -
눌다=가리다
눌다=가리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8097400&directAnchor=s83839p53446d117695 ㄱ 안에 든 ㄴ 누리=가리 고고리=곡식, 고고리가 남은 표준어 '가리' 흐르가리 => 두루 가리(경남 방언)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540900&directAnchor=s108602p69409d132007
2018.02.04 -
누렝이물
누렝이물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7968400 누렝이=숙늉의 늉
2018.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