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어문사전(33)
-
ㄱ 부터
ㄱ부터 우리 한자음을 정리합니다. 1. 가가(呵呵) 깔깔=가가 깔깔거리며 웃고 웃다 2.가격(價格) 가=값 격=다른 것들과 겨루어 나타난 금 3. 가경(佳景) 곱게 꾸미다=가 구경=경(景) 4. 가계(家系) 가리는 곳=가 꿰매다=계 핏줄로 꿰매어진 것=가계 5. 가계(家計) 가=집 계=생활을 꾀하는 활동 꾀..
2016.09.16 -
13.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
13. 우리말 그대로 한자어 1) 쇠 쇠 2) 삼갈 착==>착할 착(娕, 娖) 3) 아리따울 아(娥) 4) 어긋날 어(齬) 5) 아이=아동(兒) 6) 토끼=토(兎) 7) 기다리다=기대(期待) 8) 미미하다(보기에 좋다)=미(美, 眉) 9) 사(이사다)=실 사(絲) 10) 우리말 찬찬히 그대로 찬찬(粲粲) 11) 새길 각(刻)==>깎을 각(..
2016.09.12 -
12. 반찬
12. 반찬(飯饌) = 밥과 차린 음식 밥은 나타내고 찬은 안 보이게 한 것입니다.
2016.09.11 -
11. 나무
11. 나무 나무 막대기, 몽둥이 나무 목(木) 겨울철에 옷을 벗으니 벗을 라/나 (裸) 1) 소나무 송(松) 소나무 그대로 송 2) 대나무 죽(竹) 대나무 쭉쭉 뻗고 , 쪽 바른 대나무 죽(竹) 한국의 대표 나무는 소나무와 대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나무 송은 나타내고, 대나무 죽은 안나타나게 하신 ..
2016.09.10 -
10. 물고기 어
10. 물고기 어(魚) 처음 '아가미'에서 찾았습니다. 아가미의 제주 방언 '어우생이'가 더 정확합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6122800 물고기 어(魚) 물고기 아가미, 어우생이의 물고기 어(魚) 아가미 새 http://hanja.naver.com/hanja?q=%E9%B0%93 어우생이의 생의 새 1) 고래 경(鯨) 겡(바다)에서 깡..
2016.09.10 -
9. 기(氣)의 정리
9. 기(氣)의 정리 '기'와 '기운' , 물론 한자어라고 인식하실 것입니다. 하지만 한자어가 되기전 먼저 우리말이었습니다. 다음을 자세히 읽어 보시고 생각해 보신다면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 1)우리말 '향긋' 에서 나온 '향기(香氣)' 2)우리말 '풍기다/품기다(옛말)' 에서 나온 '풍기(風氣)' 3) ..
2016.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