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국대동세계어사전(474)
-
헌걸찰 기
헌걸찰 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42204600 헌=크다의 하다 걸=크다, 거하다 즉 거의 변음 기 크다란 원래 우리말에서 우리말 '거' 가 되고 한자음 '거' '고' '기' 가 됩니다.
2017.02.05 -
활 관련
1. 활 궁 http://hanja.naver.com/hanja?q=%E5%BC%93 굽어진 모습, 활구비의 구의 궁 2. 활시위 현 http://hanja.naver.com/hanja?q=%E5%BC%A6 활의 변음 현 3. 쇠뇌 노 http://hanja.naver.com/hanja?q=%E5%BC%A9 뇌의 노 옛말 '소니'를 보면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1771800&directAnchor=s219433p140317d200243 쇠..
2017.02.05 -
부화
부화(孵化) 부=알껍질을 부순다 화=환한 곳으로 나온다, 된다
2017.02.05 -
우리말의 변음의 예가 한자어에
우리말은 초성을 중심으로 모음은 자유롭게 변합니다. http://hanja.naver.com/hanja?q=%E4%AE%B8 (말의) 배가 울리는 소리, 알, 악,옥, 각 말이 달리면 배에서 소리가 나는 모양입니다. 알,악,옥은 울리다의 울의 변음들이고 각은 '빨리 가다' 의 '가다' 의 '각'입니다.
2017.02.05 -
어긋나다, 거스르다
1. 어긋날 어(齬), 복습 우리말 그대로, 이가 어긋나다 =어 2. 거스를 오 http://hanja.naver.com/hanja?q=%E6%8D%82 1) 거스르다, 어긋나다 여기서도 어긋나다의 어의 오
2017.02.05 -
알 품을 포
1. 알 품을 포 http://hanja.naver.com/hanja?q=%E3%B2%92 우리말 품다 그대로 품의 포 2. 쌀 포(包) http://hanja.naver.com/hanja?q=%E5%8C%85 포근히 싸매니, 쌀 포 6). 아이를 배다, 배의 변음 포 10). 보따리, 보의 푸 3. 덮을 포 http://hanja.naver.com/hanja?q=%E8%8F%A2 포근히 덮을, 덮을 포
2017.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