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구자라트어(12)
-
가리다, 가리방다--->다한카붐
가리다, 가리방다--->다한가붐 ઢાંકવું[Ḍhāṅkavuṁ] 다한-은 우리말 '덮다' 입니다. ㄷ다음 ㅎ 이 있었다는 것을 증언하는 단어입니다. 영어의 받침 ng 표식의 점이 위로 올라갔습니다. 역시 고대에는 ㅎ 이었다는 것이고 가리다에서 카, 마지막은 붐인데 역시 문자로만 ㅎ 이 남..
2020.01.12 -
불--->아그니
불--->아그니 અગ્નિ[Agni] ㅂㅎ에서 초성 생략되어 ㅇ 흟에서 ㅎ이 ㄱ, ㅀ에서 ㄴ 러 처럼 생긴 것은 원모음 아/어 ㄱ은 ㄱ이고 어 모양은 ㄴ 음가 중 하나, 왼쪽에 ㅣ 은 단모음 ㅣ
2020.01.12 -
마을---->가마둠
마을--->가마둠 ગામડું[Gāmaḍuṁ][가마둠(ㅎ)] 마흟 에서 ㅁㅎ 에서 ㅎ이 앞에 나가 ㄱ ṁ 음가는 바로 우리말 ㅁㅎ에서 ㅎ이 문자로 남은 형태 입니다.
2020.01.12 -
뫼산--->파르바트
뫼산--->파르바트 પર્વત [파르바트] U모양새가 ㅍ, 조금 덜 벌린 U 는 ㅂ , ㅌ 은 좀 다릅니다. 묄흟 이니 ㅁ 이 ㅍ, ㄹ은 르, 흟은 ㅎ이 ㅂ , ㅀ은 ㅌ 됩니다. પહાડ[Pahāḍa][파할] ㅁ이 ㅍ, 흟이 할입니다. 즉 한자어는 흟이 ㅅ 으로 산이 된 것입니다.
2020.01.12 -
물--->파니
물--->파니 પાણી ㅁ이 ㅍ 되고, ㅀ 은 ㄴ 이 되는데, 문자로도 ㄴ 안에 ㄱ 든 ㄴ 음가 중의 하나입니다. 물론 ㅍ에서 ㅁ 되는 것이 아니라 ㅁ에서 ㅂ, ㅍ 됩니다.
2020.01.12 -
하늘--->아카사
하늘--->아카사 આકાશ[아카사] ㅎ이 ㅇ , ㄴ 안에 ㄱ ,ㅀ에서 ㅎ이 ㅅ 맨 앞 ㄹ 모양은 모음 원형이고 즉 한글의 ㅇ 에 해당합니다. ㅏ 는 그대로 , ㅋ 도 거의 그대로 , ㅅ 도 위를 꼰 정도의 모습입니다. 우리말 ㅎ 이 ㅇ 되는 규칙이 전 세계어에 나타나는데, 하늘, 해가 대표적인 예입..
202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