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에서 갑골문으로(32)
-
이렇게 가도 입 구
1. 이렇게 가도 입 구가 됩니다. 고령 천부인의 ㅇ 을 물로, ㅂ 을 물 먹는 소의 얼굴이나 입으로 그러면 한자의 입 구(口)가 나옵니다. 영어권에 가서는 돌려서 A 가 됩니다. 물 일경우 '배 boat' 도 됩니다. 2. 회전하니 영어알파벳과 서양의 A 입니다. 배달 표식이지에. ㅂ=A 3. V 는 영어 발음..
2016.06.04 -
별과 입 구가 왜 ㅂ 인가?
1. 그림을 보면 아실 수 있습니다. ㅂ 은 한자에 가서 입 모양이니 입 구(口)가 됩니다. 우리 한글에서는 '별'의 초성 'ㅂ' 이 됩니다. 2. 세종께서 왜 불편한 점을 사용했는가요? 별에서 온 문자라는 것을 비밀 코드로 남기신 것입니다.
2016.05.30 -
해 日
1. 이제 인류의 비밀을 완전히 풀어 드리겠습니다. 해 일(日)은 갑골 부터 거의 같았습니다. 그런데 해 안에 점의 연유에 대해 설왕설래 했습니다. 이는 우리 동심원 해달별, 해의 축소 문자입니다. 1) 누구나 그리는 해의 상형 문자입니다. 2) 갑골문자입니다. http://www.chineseetymology.org/Characte..
2016.05.27 -
산동 문양에서 光
1. 산동에 빛인 '베'가 있습니다. 빛이 그대로 갑골문에 나옵니다. 그림 문자이니 당연히 그런 흐름이 나오겠지만, 이미 산동의 환웅배달국에서 사용한 문자임을 보여드립니다.
2016.05.17 -
천문의 우산과 양산, 그리고 신
1. 동양 하늘 별자리에 '하늘 양산'이 있습니다. 个 부호는 첨수도 화폐문과 토기문, 심지어 인더스 문자에도 나오는 가림 표식입니다. 이는 우리 한글 ㅅ 을 규정하는 중요한 문자 표식이기도 합니다. 훈민정음에 덮다의 '소다'가 있습니다. 덮어 가린다에서 우리말(한자어 와 영어 포..
2016.01.12 -
우물 정 안의 점
우물 정 안의 점 우물 정(井)의 원래 문자는 점이 안에 있는 정(丼)입니다. 점을 여러 가지로 해석하나 이것은 별입니다. 실제 동양의 별자리에 동정(東井)이 있는데 현 쌍둥이 자리입니다. 집에 들어오면 집우물 정이됩니다.
2016.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