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마니어===한자어(102)
-
모래미
모래미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3566200&directAnchor=s136467p87183d150554 쌀 미(米) 즉 열매, 모래 처럼 작은 열매 모래라는 우리 말이 먼저 있고 , 쌀이란 곡식 열매을 찾은 후 '모래미'란 언어가 된 것입니다. 어쨌거나 열매 혹은 모래미의 '쌀 미(米)' 모래에서 나온 '모'의 변음 작을 미(微) ..
2017.02.23 -
술 주
술 주 마주보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2543000 마주의 주의 술 주(酒)
2017.02.23 -
돌이
돌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0125900 돋아난 동그란 이(알, 존재) 여기서도 역시 해, 날, 알의 변음 일(日)이 보입니다. 돌이의 이의 '날, 해 일(日)' 실제 서남해가 초원지역이었던 시점에 보면 정확한 과학적 사실입니다. =돌이 민족, 해돋이 민족 즉 동이족은 우리 민족 중에 고산지역..
2017.02.23 -
도시리
도시리=길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9825000 바로 '길 도(道)'가 나옵니다. 리에서 나온 '길 로(路)' 시에서 나온 '길 수' http://hanja.naver.com/hanja?q=%E9%9A%A7 도술깨=깨는 길의 변음 , 한자어 '길 경(經)'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9819400
2017.02.23 -
소 우
소 우(牛) 우워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8813100&directAnchor=s287696p184055d240718 웅어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9039500&directAnchor=s294875p188617d241448 웅지, 웅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9043300&directAnchor=s295509p368762d430845 음매, 우워, 웅 소리내는 치, 지 라는 것입니다. 제가 처음 '..
2017.02.23 -
십만이
십만이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24201700 심마니 '니,이' 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우리말에 나타나고 한자어에도 '인(人)'이 나타나고, 만 부분은 '민(民)' 입니다. 여자에 제한 되어 '마누라' 에 우리말 속에 남게 됩니다. 존칭으로 남녀 구분 없이 '마님'이 됩니다. 전 세계어에 맨man 이 그..
2017.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