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문자 연구(823)
-
土가 칠(七)이라면, 十은 갑(甲)일 가능성.
土가 칠(七)이라면, 十은 갑(甲)일 가능성. 지금까지 천간지지 문자를 추적해 보았습니다. 乙은 분명하게 확인했습니다. 그러면 甲이 있어야 하겠지요. 十, 이 문자 은갑골 초기에는 7(七)로, 한자 정립 후는 10(十)이 되었습니다. 아직 조금 조심해야 할 부분은 있지만, ㅜ 를 6으로, 土를 7로, 王을 8로 정..
2008.08.03 -
문(文) 고찰
문(文) 고찰 흐 도전(혹은 명도전)에 보이는 文자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완전한 文으로, 혹은 이전 문자 형태로 명도전에 들어 있습니다. 文이 화폐 단위로서 鈫(돈 단위) 도 보입니다. 문(文)이 만약 화폐 단위라는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다음으로 씨족일 경우 文의 다양한 의미 중 하나..
2008.08.03 -
鮮에 포함 된 魚와 羊
鮮에 포함 된 魚와 羊 조(朝)에 포함된 씨족은 단군족과 부여족인 해(解)씨, 밝은 빛을 나타내는 명(明)씨, 달을 나타내는 한반도의 한(韓)씨입니다. 선(鮮)에 포함된 씨족은 예맥족의 어(魚)씨족, 선비(鮮裨: 원래 한자는 鮮卑인데 제가 천한 卑 대신 조선족을 보좌한 민족 이란 의미에서 裨라 고침) 족의..
2008.08.02 -
高麗 高句麗
高麗 高句麗 한번 더 합니다. 1)만약 위 부분 역삼각형 ∇ 이 ㄴ과 ㄱ 의 결합이라면, 이는 고구려의 句이고, 고조선의 가장 장손 국가인 고구려를 나타냅니다.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지요. 구 확인: http://www.internationalscientific.org/CharacterASP/CharacterEtymology.aspx?characterInput=%E5%8F%A5&submitButton1=Etymology 혹은 各일..
2008.08.02 -
엽전 위의 ㅜ, 土 , 王 의 문제
엽전 위의 ㅜ, 土 , 王 의 문제 옛 엽전 위에 ㅜ, 土 , 王 는 현재로는 숫자 6,7,8 을 나타낸 다고 봅니다. 그런데 만약 화폐 발행 연도를 나타내는 천간지지라면, ㅜ는 갑(甲), 土는 오(午), 王은 임(壬)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혹은 천간지지 인(寅)의 생략 글자 일 수 있습니다. ㅜ는 甲 의 은문자에 중요 ..
2008.08.02 -
8 혹은 중간의 줄 있는 8은 현.
8 혹은 중간의 줄 있는 8은 현(玄 : 고조선의 씨족 玄씨족을 나타냄, 현토국(玄菟國)) 혹은 천간지지의 오(午) 다시 한번 더 정리합니다. 이전에 아령 모양의 8을 숫자 오(五)로 판단했습니다. 차츰 연구를 하다가 혹은 한자 하나 하나 고조선의 씨족과 대입하다가 8 모양이 현(玄)이라고 알게 되었습..
2008.08.02